[시민일보=전용혁 기자]2011년 이후 저축은행 구조조정 과정에서 투입된 공적자금이 27조 정도이며, 이중 회수된 금액은 5조9000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도 21조원 가량이 회수되지 않은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은 21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예금보험공사로부터 '2011년 이후 부실저축은행 지원 및 회수 현황자료'를 받아 이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2011년 이후 31개의 저축은행이 부실화돼 이를 정리하기 위한 자금으로 예금보험공사는 총 27조1701억원의 자금을 투입했으나, 현재 회수된 자금은 5조9000억원에 지나지 않아 회수율이 21.7%에 불과한 실정이다.
저축은행 구조조정 당시 자금이 가장 많이 투입된 곳은 솔로몬저축은행(3조5243억원), 부산저축은행(3조1580억원), 토마토저축은행(3조150억원), 제일저축은행(2조3941억원) 순이었다.
자금회수율이 저조한 곳은 에이스저축은행(3.12%), 보해저축은행(3.72%), 부산2저축은행(7.40%), 부산저축은행(8.05%) 등이었으며, 해솔저축은행과 골든브릿지저축은행의 경우에는 회수실적이 없었으나, 대영저축은행의 경우에는 회수율이 100%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민병두 의원은 “저축은행 구조조정 과정에서 투입된 자금 회수율이 너무 낮다”면서 “회수를 극대화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직도 21조원 가량이 회수되지 않은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 민병두 의원은 21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예금보험공사로부터 '2011년 이후 부실저축은행 지원 및 회수 현황자료'를 받아 이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2011년 이후 31개의 저축은행이 부실화돼 이를 정리하기 위한 자금으로 예금보험공사는 총 27조1701억원의 자금을 투입했으나, 현재 회수된 자금은 5조9000억원에 지나지 않아 회수율이 21.7%에 불과한 실정이다.
저축은행 구조조정 당시 자금이 가장 많이 투입된 곳은 솔로몬저축은행(3조5243억원), 부산저축은행(3조1580억원), 토마토저축은행(3조150억원), 제일저축은행(2조3941억원) 순이었다.
자금회수율이 저조한 곳은 에이스저축은행(3.12%), 보해저축은행(3.72%), 부산2저축은행(7.40%), 부산저축은행(8.05%) 등이었으며, 해솔저축은행과 골든브릿지저축은행의 경우에는 회수실적이 없었으나, 대영저축은행의 경우에는 회수율이 100%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민병두 의원은 “저축은행 구조조정 과정에서 투입된 자금 회수율이 너무 낮다”면서 “회수를 극대화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