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친박세력 장기집권위한 헛된 망상" 반발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친박계 핵심으로 당 사무총장을 지낸 새누리당 홍문종 의원은 논란을 빚고 있는 자신의 개헌발언과 관련, 13일 "국가의 100년 대계 차원에서 20대 총선 이후 개헌논의가 시작돼야 한다는 개인적 소신을 밝힌 것 뿐인데 (언론의) 상상이 지나치다“며 ”민생해결이 우선돼야 하는 현 시점이 아니라 20대 총선 이후 개헌 추진을 언급한 것“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면서도 “내년 총선 이후 구체적인 개헌논의가 필요하다는 소신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홍 의원은 12일 KBS 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5년 단임제 대통령 제도는 이미 죽은 제도가 된 것 아니냐”며 "20대 (총선이) 끝난 이후에 개헌을 해야 된다는 것이 현재 국회의원들의 생각"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 이원집정부 개헌과 관련, ‘반기문 대통령에 친박 총리, 이런 조합이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는 사회자 질문에 “그것이 옳다 그르다를 떠나 가능성이 있는 얘기이긴 하다”며 다만 “지금 누가 그런 그림을 그리고 그런 전제 하에 이원집정부제를 하자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친박계 윤상현 조원진 의원 등은 ‘개헌 발언은 개인의견’이라며 즉각적인 선 긋기에 나섰다. 특히 윤 의원의 경우 기자들에게 같은 내용의 문자를 돌리기도 했다.
야당 역시 “장기집권 위한 음모”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새누리당 모 전직 의원은 “개헌의 당위성은 오래 전부터 여의도 정치권은 국민 사이에서도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현실’이었다”며 다만 “공교롭게도 홍문종, 최경환, 윤상현 등 핵심 친박계 의원들이 동시에 개헌관련 발언을 언급하면서 모종의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의심을 초래한 측면이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실제 친박 핵심인 최경환 부총리도 지난 4일 방송에 출연해 “과거의 정부는 문제해결 방식이 매우 단순한 방정식이었지만 지금은 고차방정식으로 해결이 어렵게 진화되고 있다”며 “최근 20년 이상이 (대통령제)5년 단임제였는데,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환경”이라고 ‘개헌’을 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앞서 윤상현 의원도 "개헌 논의는 내년 총선 이후, 개헌은 내후년 상반기가 순리"라며 구체적인 시기까지 언급했다.
지난 5일에는 이인제 최고위원도 최고위원회의에서 농어촌 선거구 문제와 관련해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원제로 갈 수밖에 없다. 헌법 개정해야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또 다른 새누리당 관계자는 “개헌문제를 정치공학이나 권력투쟁 방식으로 접근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며 “어차피 개헌에 가장 적합한 시기는 차기 주자가 아직 확실하게 드러나지 않은 총선 이후가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 이유에 대해 이 관계자는 “어느 대선 후보도 개헌논의에 호의적일 수 없기 때문”이라며 “차기 대선 주자 윤곽이 아직 확실하지 않은, 총선 이후 다음 정권부터의 실행을 전제로 구체적 개헌논의에 들어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개헌 논의는 청와대 참모 등의 의중을 묻기보다 정치권에서, 특히 여당 주류의 책임 있는 문제의식과 사회적 합의 노력으로 해결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친박계 핵심으로 당 사무총장을 지낸 새누리당 홍문종 의원은 논란을 빚고 있는 자신의 개헌발언과 관련, 13일 "국가의 100년 대계 차원에서 20대 총선 이후 개헌논의가 시작돼야 한다는 개인적 소신을 밝힌 것 뿐인데 (언론의) 상상이 지나치다“며 ”민생해결이 우선돼야 하는 현 시점이 아니라 20대 총선 이후 개헌 추진을 언급한 것“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면서도 “내년 총선 이후 구체적인 개헌논의가 필요하다는 소신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홍 의원은 12일 KBS 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5년 단임제 대통령 제도는 이미 죽은 제도가 된 것 아니냐”며 "20대 (총선이) 끝난 이후에 개헌을 해야 된다는 것이 현재 국회의원들의 생각"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 이원집정부 개헌과 관련, ‘반기문 대통령에 친박 총리, 이런 조합이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는 사회자 질문에 “그것이 옳다 그르다를 떠나 가능성이 있는 얘기이긴 하다”며 다만 “지금 누가 그런 그림을 그리고 그런 전제 하에 이원집정부제를 하자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친박계 윤상현 조원진 의원 등은 ‘개헌 발언은 개인의견’이라며 즉각적인 선 긋기에 나섰다. 특히 윤 의원의 경우 기자들에게 같은 내용의 문자를 돌리기도 했다.
야당 역시 “장기집권 위한 음모”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새누리당 모 전직 의원은 “개헌의 당위성은 오래 전부터 여의도 정치권은 국민 사이에서도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현실’이었다”며 다만 “공교롭게도 홍문종, 최경환, 윤상현 등 핵심 친박계 의원들이 동시에 개헌관련 발언을 언급하면서 모종의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의심을 초래한 측면이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실제 친박 핵심인 최경환 부총리도 지난 4일 방송에 출연해 “과거의 정부는 문제해결 방식이 매우 단순한 방정식이었지만 지금은 고차방정식으로 해결이 어렵게 진화되고 있다”며 “최근 20년 이상이 (대통령제)5년 단임제였는데,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환경”이라고 ‘개헌’을 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앞서 윤상현 의원도 "개헌 논의는 내년 총선 이후, 개헌은 내후년 상반기가 순리"라며 구체적인 시기까지 언급했다.
지난 5일에는 이인제 최고위원도 최고위원회의에서 농어촌 선거구 문제와 관련해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원제로 갈 수밖에 없다. 헌법 개정해야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또 다른 새누리당 관계자는 “개헌문제를 정치공학이나 권력투쟁 방식으로 접근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며 “어차피 개헌에 가장 적합한 시기는 차기 주자가 아직 확실하게 드러나지 않은 총선 이후가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 이유에 대해 이 관계자는 “어느 대선 후보도 개헌논의에 호의적일 수 없기 때문”이라며 “차기 대선 주자 윤곽이 아직 확실하지 않은, 총선 이후 다음 정권부터의 실행을 전제로 구체적 개헌논의에 들어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개헌 논의는 청와대 참모 등의 의중을 묻기보다 정치권에서, 특히 여당 주류의 책임 있는 문제의식과 사회적 합의 노력으로 해결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