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초재선 “차라리 여당에 입당하게 낫다”
새정치 지도부 “여당도 야당도 아닌 묘한 당”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여야는 28일 안철수 의원이 전날 발표한 신당 기조 발표'에 대해 집중 포화를 날렸다.
새누리당 초·재선 의원들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아침소리' 회의에서 어제 안 의원이 보여준 비전 정도면 차라리 새누리당에 입당하는 게 낫지 않느냐"며 힐난했다.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은 "격차 해소, 통일과 같은 문제는 새누리당에서도 늘 주장하는 것이다. 그 정도 목소리는 포용 가능하다"며 "차라리 새누리당의 중도 혁신 흐름에 힘을 보태는 게 현실적인 선택"이라고 꼬집었다.
이노근 의원은 "안 의원이 새정치민주연합의 지긋지긋한 정쟁 과정에서 철학적 소신을 펼칠 수 없어서 탈당한 것은 이해한다"면서도 "안 의원은 과연 당당하냐. 네 번이나 '철수'하면서 정치권에 혼란을 일으킨 것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안 의원이 튼튼한 안보를 주장한 것은 옳은 이야기"라면서도 "추상적으로 이야기 할 것이 아니라 테러방지법, 북한인권법과 같은 국회 현안에 대해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고 행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영우 의원도 "안 의원이 밝힌 신당 비전은 과거 발언과 크게 다르지 않다. 문제는 신당 창당 비전 제시 능력이 아니라 실천 능력, 행동력"이라며 "과연 발언대로 실천하는지 국민들이 지켜볼 것"이라고 가세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도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안철수 신당을 향해 총공세를 펼쳤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여당도, 야당도 아닌 묘한 당으로는 성공할 수 없다"며 '안철수 신당'에 대해 포문을 열었다.
그는 "시대정신과 국민적 공감, 비전 없는 정당은 성공하기 어렵다. 새정치란 정치적 수사가 아니라 구체적으로 누구를 위해 무엇을 하는 정치인지를 제시해야 한다"며 "새로운 정치를 하려면 정치개혁의 과제를 제시해야 하고, 남북관계에 대한 분명한 철학적 입장 있어야 한다. 서민고통을 타개할 구체적 대책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 개인을 위해서 모인 정당도 성공하기 어려울진 데 하물며, 특정 누구를 싫어하는 사람의 정당이 성공할리 없다고 본다. 거기에는 시대정신이 없기 때문에 그렇다"고 꼬집었다.
추미애 최고위원 역시 "뜬금없는 새정치는 국민에게 식상함을 배가시킬 따름이라 생각이 든다"고 비판대열에 가세했다.
추 최고위원은 "정치는 언어의 유희가 아니라 무엇을 지향하는지 그를 통해 국민에게 어떤 희망줄 것인지 하나씩 풀어나가고 헤쳐 나가는 것"이라며 "새정치연합의 구성원 문제라면 새로운 인재를 영입해오는 역할을 맡아서 해내면 될 일이었다. 그런데 (안 의원은)인재영입위원장을 맡지 않았다. 새정치연합이 제안하는 정강정책의 문제라면 혁신을 통해 새 정신 쏟아부으면 될 일이었다. 그러나 (그는) 혁신위원장도 맡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목희 정책위의장은 “민주주의의 기본원칙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핵심은 민주집중의 원칙이다. 토론의 자유는 있지만, 결정되면 딴소리 않고 행동하는 것이 기본원칙”이라며 “탈당 사태는 이 원칙에서 벗어나 있다”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안 의원의)혁신전대는 소수 의견이었다. 소수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다수를 만들기 위해 자신이 노력해야한다. 그런데 소수가 다수에 복종하지 않고 그냥 뛰쳐나갔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래서)안철수 의원은 틀렸다고 규정한다. 민주주의 기본원칙에 있어서 틀렸다"고 지적했다.
새정치 지도부 “여당도 야당도 아닌 묘한 당”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여야는 28일 안철수 의원이 전날 발표한 신당 기조 발표'에 대해 집중 포화를 날렸다.
새누리당 초·재선 의원들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아침소리' 회의에서 어제 안 의원이 보여준 비전 정도면 차라리 새누리당에 입당하는 게 낫지 않느냐"며 힐난했다.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은 "격차 해소, 통일과 같은 문제는 새누리당에서도 늘 주장하는 것이다. 그 정도 목소리는 포용 가능하다"며 "차라리 새누리당의 중도 혁신 흐름에 힘을 보태는 게 현실적인 선택"이라고 꼬집었다.
이노근 의원은 "안 의원이 새정치민주연합의 지긋지긋한 정쟁 과정에서 철학적 소신을 펼칠 수 없어서 탈당한 것은 이해한다"면서도 "안 의원은 과연 당당하냐. 네 번이나 '철수'하면서 정치권에 혼란을 일으킨 것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안 의원이 튼튼한 안보를 주장한 것은 옳은 이야기"라면서도 "추상적으로 이야기 할 것이 아니라 테러방지법, 북한인권법과 같은 국회 현안에 대해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고 행동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영우 의원도 "안 의원이 밝힌 신당 비전은 과거 발언과 크게 다르지 않다. 문제는 신당 창당 비전 제시 능력이 아니라 실천 능력, 행동력"이라며 "과연 발언대로 실천하는지 국민들이 지켜볼 것"이라고 가세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도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안철수 신당을 향해 총공세를 펼쳤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여당도, 야당도 아닌 묘한 당으로는 성공할 수 없다"며 '안철수 신당'에 대해 포문을 열었다.
그는 "시대정신과 국민적 공감, 비전 없는 정당은 성공하기 어렵다. 새정치란 정치적 수사가 아니라 구체적으로 누구를 위해 무엇을 하는 정치인지를 제시해야 한다"며 "새로운 정치를 하려면 정치개혁의 과제를 제시해야 하고, 남북관계에 대한 분명한 철학적 입장 있어야 한다. 서민고통을 타개할 구체적 대책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 개인을 위해서 모인 정당도 성공하기 어려울진 데 하물며, 특정 누구를 싫어하는 사람의 정당이 성공할리 없다고 본다. 거기에는 시대정신이 없기 때문에 그렇다"고 꼬집었다.
추미애 최고위원 역시 "뜬금없는 새정치는 국민에게 식상함을 배가시킬 따름이라 생각이 든다"고 비판대열에 가세했다.
추 최고위원은 "정치는 언어의 유희가 아니라 무엇을 지향하는지 그를 통해 국민에게 어떤 희망줄 것인지 하나씩 풀어나가고 헤쳐 나가는 것"이라며 "새정치연합의 구성원 문제라면 새로운 인재를 영입해오는 역할을 맡아서 해내면 될 일이었다. 그런데 (안 의원은)인재영입위원장을 맡지 않았다. 새정치연합이 제안하는 정강정책의 문제라면 혁신을 통해 새 정신 쏟아부으면 될 일이었다. 그러나 (그는) 혁신위원장도 맡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목희 정책위의장은 “민주주의의 기본원칙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핵심은 민주집중의 원칙이다. 토론의 자유는 있지만, 결정되면 딴소리 않고 행동하는 것이 기본원칙”이라며 “탈당 사태는 이 원칙에서 벗어나 있다”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안 의원의)혁신전대는 소수 의견이었다. 소수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다수를 만들기 위해 자신이 노력해야한다. 그런데 소수가 다수에 복종하지 않고 그냥 뛰쳐나갔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래서)안철수 의원은 틀렸다고 규정한다. 민주주의 기본원칙에 있어서 틀렸다"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