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가 갖고 있는 효용성 어느 정도 인정해야”

    정당/국회 / 전용혁 기자 / 2016-02-18 13:28:02
    • 카카오톡 보내기
    공단 연구원, “중국 펄펄 뛰는 걸 보면 이같은 분석 나와”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최근 사드 배치 문제를 두고 찬반 논란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오공단 미국 국방연구소 동아시아 책임연구원이 “사드가 갖고 있는 효용성을 어느 정도 인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반도문제 전문가인 오 연구원은 18일 오전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이런 식으로 펄펄 뛰면서 반대하는 걸 보면 사드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 분석이 어느 정도 나온다는 생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사드는 단거리ㆍ중거리 미사일시스템이기 때문에 중국은 이 사드에 대해 하나도 걱정할 게 없는데, 단지 엑스밴드 레이더를 통해 중국의 상황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중국이 지금 굉장히 반대를 하고 있다”며 “한국의 사드 배치에 반발하는 것은 남의 일에 간섭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사드는 주한미군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일부 지적에 대해서는 “그런 주장이 한국에서 강한데, 주한미군은 왜 한국에 있는가, 그 목적과 존재의 이유를 알고 있다면 주한미군을 위주로 사드를 배치한다는 궁극적인 문제가 생기지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북한의 정책이 주한미군으로부터 때려잡고 한국을 치려는 계획이기 때문에 주한미군이 보호되지 않으면 주한미군이 한국과 같이 동맹을 할 수 있겠는가”라며 “그런 의미에서 지엽적인 문제에 집착해 근본적 문제를 못 보는 접근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가 주장한 ‘핵무장론’에 대해서는 “핵은 5대 핵 대국을 제외하고는 모든 국가의 전략적ㆍ군사적 두통거리가 된다. 한국이 핵을 가지면 중국, 러시아, 북한에 밀려 수세적이지 않고 안보고 확실시 된다고 믿는다면 할 말이 없지만 결국 북한이 발전시키고 있는 핵과 미사일은 북한이 한국을 잡아먹는다기보다는 궁극적으로는 북한의 종말을 가져오는 카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의도적으로 한국에게 핵을 쓴다면 미국의 전략적인 대응방법이 있고, 미국과 한국의 관계는 정치적인 동맹관계가 아니라 군사적 동맹이다. 한국이 집적거리지 않았는데 북한이 공세적으로 한국에게 핵이나 미사일을 쏠 경우 미국이 북한을 때려 잡아야 할 것”이라며 “이것이 전략적 근본으로 돼 있기 때문에 결국 동맹 자체에 대한 신뢰 등을 통해 북한 내부에 스스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유도하는 게 한국에게 가장 현명한 길”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