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노회한 김 대표,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 없어”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의 ‘야권통합’ 거부 입장에 대해 “죽어도 싫다는 사람과 이야기 할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지난 6일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내가 볼 땐 (안 대표가)뭔가 좀 흥분한 상태다. 기자회견에서 너무나 자제력을 상실한 상태에서 말을 했다는 생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일단 (통합)제안을 했기 때문에 그 상태는 그대로 가지만 지금 단계에서는 구체적으로 연대니 뭐니 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진행된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도 “이번 총선에서 야당이 합심해 전력을 다하면 과반 의석도 거둘 수 있고, 그걸 바탕으로 내년 대선에서 정권교체가 비교적 쉽게 이뤄질 수 있다고 판단해서 야권통합을 제안한 것이고, 통합을 한 번 해보자는 제의를 한 것인데 죽어도 싫으면 할 수 없는 것”이라고 입장을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더 이상 그 사람(안철수 대표)에 대해 개인적으로 공격할 생각도 없고, 하고 싶지도 않다”며 “(야권통합 반대한 것에 대해서는)유권자가 단호하게 평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안철수 대표는 이날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김종인 대표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안 대표는 자신의 야권통합 거부 방침과 관련, ‘대권욕심 때문’이라는 김종인 대표의 지적에 대해 “노회한 정치인의 프레임”이라고 꼬집었다.
안 대표는 “김 대표가 ‘당의 대통령 후보가 하나여야 된다’고 했는데 이분이 민주주의와 정당이라는 것에 대해 이해가 없는 게 아닌가 생각했다”며 “여러 후보가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외연을 넓히는 게 정당인데, 오직 한 명의 대통령 후보만 있는 정당에서 (정치를)시작해서 그런 게 아닌가 싶다”고 비난했다.
그는 ‘김 대표에게 수 싸움에서 밀리는 것 같다’는 일부 분석에 대해서는 “노회한 분이다. 배울 점도 많지만 국민들이 저를 부르신 이유는 정치를 배우라는 게 아니라 정치를 바꾸라고 한 것”이라며 ‘정치를 바꾸는 일에 집중하겠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야권 통합 문제에 대해서는 “통합이라는 건 합당인데, 의원분들이 탈당하고 당을 만든 이유가 나라가 위기에 빠지고 위기를 극복 못하는 핵심에 기득권 거대 양당이 자리 잡고 있다는 문제 인식이었다”고 거듭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의 ‘야권통합’ 거부 입장에 대해 “죽어도 싫다는 사람과 이야기 할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지난 6일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내가 볼 땐 (안 대표가)뭔가 좀 흥분한 상태다. 기자회견에서 너무나 자제력을 상실한 상태에서 말을 했다는 생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일단 (통합)제안을 했기 때문에 그 상태는 그대로 가지만 지금 단계에서는 구체적으로 연대니 뭐니 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진행된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도 “이번 총선에서 야당이 합심해 전력을 다하면 과반 의석도 거둘 수 있고, 그걸 바탕으로 내년 대선에서 정권교체가 비교적 쉽게 이뤄질 수 있다고 판단해서 야권통합을 제안한 것이고, 통합을 한 번 해보자는 제의를 한 것인데 죽어도 싫으면 할 수 없는 것”이라고 입장을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더 이상 그 사람(안철수 대표)에 대해 개인적으로 공격할 생각도 없고, 하고 싶지도 않다”며 “(야권통합 반대한 것에 대해서는)유권자가 단호하게 평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안철수 대표는 이날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김종인 대표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안 대표는 자신의 야권통합 거부 방침과 관련, ‘대권욕심 때문’이라는 김종인 대표의 지적에 대해 “노회한 정치인의 프레임”이라고 꼬집었다.
안 대표는 “김 대표가 ‘당의 대통령 후보가 하나여야 된다’고 했는데 이분이 민주주의와 정당이라는 것에 대해 이해가 없는 게 아닌가 생각했다”며 “여러 후보가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외연을 넓히는 게 정당인데, 오직 한 명의 대통령 후보만 있는 정당에서 (정치를)시작해서 그런 게 아닌가 싶다”고 비난했다.
그는 ‘김 대표에게 수 싸움에서 밀리는 것 같다’는 일부 분석에 대해서는 “노회한 분이다. 배울 점도 많지만 국민들이 저를 부르신 이유는 정치를 배우라는 게 아니라 정치를 바꾸라고 한 것”이라며 ‘정치를 바꾸는 일에 집중하겠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그는 야권 통합 문제에 대해서는 “통합이라는 건 합당인데, 의원분들이 탈당하고 당을 만든 이유가 나라가 위기에 빠지고 위기를 극복 못하는 핵심에 기득권 거대 양당이 자리 잡고 있다는 문제 인식이었다”고 거듭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