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승용, “원칙만 고수할 게 아니라 대화-타협해야”
박주선, “더 이상 ‘연대’왈가왈부할 상황 아니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야권연대에 대해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 공동대표가 분명한 거부 입장을 밝혔으나 당내에서는 여전히 이를 둘러싼 갈등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안철수 대표의 야권연대거부에 불만을 품고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을 사퇴한 김한길 의원의 측근인 주승용 원내대표는 14일 "원칙만 고수할 것이 아니라 대화하고 타협해서 좋은 길을 가야 한다"고 안 대표를 압박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호남 민심의 요구는 분명하다. 야당이 총선 승리를 통해서 정권교체의 가능성을 높이라는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또 "호남에서는 국민의당과 더불어민주당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비호남권은 지난 19대 총선에서도 3% 이내에서 당락이 결정된 지역에 대해서는 연대나 단일화가 불가피하다는 것이 지배적 여론"이라고 강조했다.
야권연대를 둘러싼 안철수 대표와 김한길 의원, 천정배 공동 대표 간 갈등으로 인해 분당될 가능성에 대해선 "안철수 대표의 주장도 원칙적인 주장이 맞고 천정배 대표나 김한길 위원장의 주장도 당의 총선 승리를 위해 고민하는 과정에서 한 말씀"이라며 "그렇게 큰 차이가 없다"고 일축했다.
그러나 그는 야권연대에 대해 완강히 반대하는 안철수 대표를 겨냥 "자기주장과 좀 다르다고 너무나 원칙적인 면만 고수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야권연대 방식과 시기 등의 문제와 관련 “이번 주가 고비로 각 당 후보가 정해져버리면 일단 당 차원의 연대는 없다”며 “야당이 우세한 지역에서 후보 분열로 낙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선별해 이에 대해 고민을 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후보자 당사자 별로 맡겨둘 수도 있지만 야당이 함께 고민해 보는 시간도 가져야 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주 원내대표는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최근 “통합은 하되 야권연대는 없다”고 선을 그은 것에 대해 “잘못된 생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더불어민주당이 하는 행태를 보면 우리 당을 교란시키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불쾌감을 표했다.
이어 "(더민주는)패권주의 청산이 제대로 실천되지 못하고 있는 것 같고 그나마 연대가 성사되려면 여러 가지 진정성 있는 노력이 선행돼야 되는데 성과는 좀 기대하기 어렵다"고 실제 야권연대 성사 가능성은 낮게 봤다.
다만 그는 "당과 당의 연대가 양당이 하고 있는 걸 보면 쉽지는 않지만 새누리당이 어부지리 당선으로 과반 이상 180석을 주지 않으려면 마지막까지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반면 같은 당 박주선 최고위원은 "국민의당은 더 이상 야권연대를 왈가왈부할 상황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박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에 출연, "이미 더불어민주당으로는 정권교체가 불가능하고, 몇 석 더 얻겠다고 연대하는 것은 명분 실종되는 것"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일각에서 천정배 대표가 야권 연대를 명분으로 내세워서 자기 사람 심는데 관심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것에 대해 “(국민이)야권연대 주장을 본인의 계파 심기 꼼수라고 판단되게 되면 정치적인 생명에 큰 상처가 올 수 있다. 그런 주장을 할 분도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도 야권연대 불가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을 이탈한 민심과 약 40%에 달하는 무당층을 배려하고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정책과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야권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을 대체하는 대안의 정당으로서 국민의당이 출범하겠다고 약속했다”며 “그 방향과 노선으로 용기 있게 뚜벅뚜벅 걸어가라 그게 국민의 뜻”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미 더불어민주당으로는 기대와 가망이 없다고 국민이 결정한 마당에 연대를 한다고 해서 표를 꼭 준다는 보장이 어디에 있느냐”고 반문했다.
박 최고위원은 야권에서 개헌저지를 위한 선거연대를 얘기하고 있지만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야당 의원들 대다수도 개헌에 찬성을 하면서 개헌 저지를 내세워서 연대한다는 게 앞뒤 말이 맞지 않는다고 지적한 것에 대해 “일 리가 있다”고 일부 수긍했다.
이어 “저희들이 말하는 개헌 저지선이라는 것은 여당의 독주 속에서 국민이 원하지 않는 방향의 개헌을 개악을 할까 싶어서 그것만은 막아야겠다는 취지의 이야기”라며 “개헌 자체를 반대한다는 이야기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천 대표가 당무를 거부하고, 김 의원이 선대위원장직을 사퇴한 것에 대해 ‘해당행위’논란이 일고 있는데 대해 “정치는 상황과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이라며 “해당행위 운운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일축했다.
다만 그는 “국민께 이 상황이 어떻게 비춰질까 하는 것은 매우 아쉽다“며 ”모두가 지혜를 모으고 힘을 합해야 할 때인데 이런 상황이 지속되는 것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고 우리 당에도 절대 도움이 안된다”고 강조했다.
박주선, “더 이상 ‘연대’왈가왈부할 상황 아니다”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야권연대에 대해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 공동대표가 분명한 거부 입장을 밝혔으나 당내에서는 여전히 이를 둘러싼 갈등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안철수 대표의 야권연대거부에 불만을 품고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을 사퇴한 김한길 의원의 측근인 주승용 원내대표는 14일 "원칙만 고수할 것이 아니라 대화하고 타협해서 좋은 길을 가야 한다"고 안 대표를 압박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호남 민심의 요구는 분명하다. 야당이 총선 승리를 통해서 정권교체의 가능성을 높이라는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또 "호남에서는 국민의당과 더불어민주당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비호남권은 지난 19대 총선에서도 3% 이내에서 당락이 결정된 지역에 대해서는 연대나 단일화가 불가피하다는 것이 지배적 여론"이라고 강조했다.
야권연대를 둘러싼 안철수 대표와 김한길 의원, 천정배 공동 대표 간 갈등으로 인해 분당될 가능성에 대해선 "안철수 대표의 주장도 원칙적인 주장이 맞고 천정배 대표나 김한길 위원장의 주장도 당의 총선 승리를 위해 고민하는 과정에서 한 말씀"이라며 "그렇게 큰 차이가 없다"고 일축했다.
그러나 그는 야권연대에 대해 완강히 반대하는 안철수 대표를 겨냥 "자기주장과 좀 다르다고 너무나 원칙적인 면만 고수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야권연대 방식과 시기 등의 문제와 관련 “이번 주가 고비로 각 당 후보가 정해져버리면 일단 당 차원의 연대는 없다”며 “야당이 우세한 지역에서 후보 분열로 낙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선별해 이에 대해 고민을 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후보자 당사자 별로 맡겨둘 수도 있지만 야당이 함께 고민해 보는 시간도 가져야 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주 원내대표는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최근 “통합은 하되 야권연대는 없다”고 선을 그은 것에 대해 “잘못된 생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더불어민주당이 하는 행태를 보면 우리 당을 교란시키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불쾌감을 표했다.
이어 "(더민주는)패권주의 청산이 제대로 실천되지 못하고 있는 것 같고 그나마 연대가 성사되려면 여러 가지 진정성 있는 노력이 선행돼야 되는데 성과는 좀 기대하기 어렵다"고 실제 야권연대 성사 가능성은 낮게 봤다.
다만 그는 "당과 당의 연대가 양당이 하고 있는 걸 보면 쉽지는 않지만 새누리당이 어부지리 당선으로 과반 이상 180석을 주지 않으려면 마지막까지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반면 같은 당 박주선 최고위원은 "국민의당은 더 이상 야권연대를 왈가왈부할 상황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박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에 출연, "이미 더불어민주당으로는 정권교체가 불가능하고, 몇 석 더 얻겠다고 연대하는 것은 명분 실종되는 것"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일각에서 천정배 대표가 야권 연대를 명분으로 내세워서 자기 사람 심는데 관심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것에 대해 “(국민이)야권연대 주장을 본인의 계파 심기 꼼수라고 판단되게 되면 정치적인 생명에 큰 상처가 올 수 있다. 그런 주장을 할 분도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도 야권연대 불가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을 이탈한 민심과 약 40%에 달하는 무당층을 배려하고 지지를 받을 수 있는 정책과 비전을 제시함으로써 야권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을 대체하는 대안의 정당으로서 국민의당이 출범하겠다고 약속했다”며 “그 방향과 노선으로 용기 있게 뚜벅뚜벅 걸어가라 그게 국민의 뜻”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미 더불어민주당으로는 기대와 가망이 없다고 국민이 결정한 마당에 연대를 한다고 해서 표를 꼭 준다는 보장이 어디에 있느냐”고 반문했다.
박 최고위원은 야권에서 개헌저지를 위한 선거연대를 얘기하고 있지만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야당 의원들 대다수도 개헌에 찬성을 하면서 개헌 저지를 내세워서 연대한다는 게 앞뒤 말이 맞지 않는다고 지적한 것에 대해 “일 리가 있다”고 일부 수긍했다.
이어 “저희들이 말하는 개헌 저지선이라는 것은 여당의 독주 속에서 국민이 원하지 않는 방향의 개헌을 개악을 할까 싶어서 그것만은 막아야겠다는 취지의 이야기”라며 “개헌 자체를 반대한다는 이야기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천 대표가 당무를 거부하고, 김 의원이 선대위원장직을 사퇴한 것에 대해 ‘해당행위’논란이 일고 있는데 대해 “정치는 상황과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이라며 “해당행위 운운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일축했다.
다만 그는 “국민께 이 상황이 어떻게 비춰질까 하는 것은 매우 아쉽다“며 ”모두가 지혜를 모으고 힘을 합해야 할 때인데 이런 상황이 지속되는 것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고 우리 당에도 절대 도움이 안된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