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에 현장조사 데이터분석 후 대책 마련 촉구
[경북=박병상 기자]이수경 경상북도의원(성주ㆍ건설소방위원회)은 최근 제283회 임시회 3차 본회의 5분발언을 통해 소규모공공시설 유지관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책방안 강구를 촉구했다.
소규모공공시설이란 '도로법', '하천법' 등의 법률에 따라 관리되지 않고 있는 소교량, 세천, 취입보, 낙차공, 농로 등 규모가 작은 공공시설을 말한다.
소규모공공시설은 1970~1980년대 마을단위로 무분별하게 소하천, 세천, 구거 등에 설치한 농로, 낙차보, 소교량 등으로 관리주체가 불분명해 체계적인 안전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소규모 공공시설은 호우 시마다 피해가 발생하고 있고 인명사고 및 주택과 농경지 침수 등 2차피해를 유발하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이 의원은 도에서 시·군의 소규모공공시설에 대한 현장조사 데이터를 분석하고, 안전도가 낮은 위험시설물에 대하여는 지속적인 시설물 정비가 이뤄질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한편, 이번 임시회에서 경상북도의회는 도정질문, 2015회계연도 결산검사위원 선임의 건, 조례안 등을 처리했다.
[경북=박병상 기자]이수경 경상북도의원(성주ㆍ건설소방위원회)은 최근 제283회 임시회 3차 본회의 5분발언을 통해 소규모공공시설 유지관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책방안 강구를 촉구했다.
소규모공공시설이란 '도로법', '하천법' 등의 법률에 따라 관리되지 않고 있는 소교량, 세천, 취입보, 낙차공, 농로 등 규모가 작은 공공시설을 말한다.
소규모공공시설은 1970~1980년대 마을단위로 무분별하게 소하천, 세천, 구거 등에 설치한 농로, 낙차보, 소교량 등으로 관리주체가 불분명해 체계적인 안전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소규모 공공시설은 호우 시마다 피해가 발생하고 있고 인명사고 및 주택과 농경지 침수 등 2차피해를 유발하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이 의원은 도에서 시·군의 소규모공공시설에 대한 현장조사 데이터를 분석하고, 안전도가 낮은 위험시설물에 대하여는 지속적인 시설물 정비가 이뤄질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한편, 이번 임시회에서 경상북도의회는 도정질문, 2015회계연도 결산검사위원 선임의 건, 조례안 등을 처리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