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합행위 발생 시 입찰금액의 5% 또는 계약금액의 10% 범위내 손해배상액 납부
[시민일보=표영준 기자]조달청은 공공입찰 담합을 사전 예방하기 위해 ‘입찰담합 손해배상예정액 제도’를 도입하고 오는 11일 입찰공고분부터 시행한다고 7일 밝혔다.
입찰담합 손해배상예정액 제도란 즉각적인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도록 청렴계약서에 손해배상액 납부 관련 내용을 신설해 담합행위 발생시 입찰금액의 5% 또는 계약금액의 10% 범위내 손해배상액을 납부토록 하는 제도다.
이에 따라 국가계약법 적용 기관의 경우 입찰서 제출 및 계약체결 시에 개정된 청렴계약서를 첨부해 계약을 진행하고 공정거래위원회의 담합 처분 통보 시 입찰자 또는 계약상대자에게 청렴계약서에 의한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게 됐다.
조달청은 손해배상예정액 제도 도입으로 입찰담합으로 인한 국가의 손해가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즉각적인 손해배상이 가능하도록 ‘정부 입찰·계약 집행기준(기획재정부계약예규, 2016년 1월1일)’이 개정됨에 따른 후속 조치로 관행적인 입찰담합을 뿌리뽑겠다고 말했다.
정양호 청장은 “조달청의 입찰담합 손해배상예정액 제도가 정착되면 다수의 공공기관이 손해배상예정액 제도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담합에 대해 손해배상소송을 추진하고 있지만 피해액 산정이 쉽지 않았는데 발주기관의 소송 부담도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시민일보=표영준 기자]조달청은 공공입찰 담합을 사전 예방하기 위해 ‘입찰담합 손해배상예정액 제도’를 도입하고 오는 11일 입찰공고분부터 시행한다고 7일 밝혔다.
입찰담합 손해배상예정액 제도란 즉각적인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도록 청렴계약서에 손해배상액 납부 관련 내용을 신설해 담합행위 발생시 입찰금액의 5% 또는 계약금액의 10% 범위내 손해배상액을 납부토록 하는 제도다.
이에 따라 국가계약법 적용 기관의 경우 입찰서 제출 및 계약체결 시에 개정된 청렴계약서를 첨부해 계약을 진행하고 공정거래위원회의 담합 처분 통보 시 입찰자 또는 계약상대자에게 청렴계약서에 의한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게 됐다.
조달청은 손해배상예정액 제도 도입으로 입찰담합으로 인한 국가의 손해가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즉각적인 손해배상이 가능하도록 ‘정부 입찰·계약 집행기준(기획재정부계약예규, 2016년 1월1일)’이 개정됨에 따른 후속 조치로 관행적인 입찰담합을 뿌리뽑겠다고 말했다.
정양호 청장은 “조달청의 입찰담합 손해배상예정액 제도가 정착되면 다수의 공공기관이 손해배상예정액 제도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담합에 대해 손해배상소송을 추진하고 있지만 피해액 산정이 쉽지 않았는데 발주기관의 소송 부담도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