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 선거 출마를 선언한 김상곤 전 혁신위원장이 자신이 친문 인사라는 일부 분석에 대해 “저는 누구의 사람도 아닌 김상곤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김 전 위원장은 22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한 번도 친노ㆍ친문으로 역할을 해 본 적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제가 더불어민주당 이전에 새정치민주연합에 들어오게 된 과정에서는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역할이 있었고, 혁신위원장에 나가게 되는 데 이종걸 전 대표의 역할이 있었다”며 “또 인재영입위원장을 할 동안 김종인 대표께서 역할을 같이 하셨는데 그분들 모두가 동시대를 살아가는 정치인들로서 서로 협력과 비판을 같이 하는 정치인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런 면에서 때로 그때그때에 관계되는 분들과 역할 분담이 있었을 뿐이지, 친노, 친김 이렇게 이야기 할 수 있는 성질은 아니라고 본다. 모두를 아우르고 또 이끌어 나가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자신의 경쟁자인 추미애ㆍ송영길 후보보다 약하다는 분석에 대해서는 “물론 추미애, 송영길 두 분이 의정활동 오래하고 정치 생활을 오래하셨지만 사실 여의도 문법에 머무르고 있는 분들이고 구 정치에 젖어있는 면이 많은 분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새로운 정치, 또 새로운 대한민국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데는 조금은 부족하지 않느냐는 판단”이라고 평가 절하했다.
한편 그는 손학규 전 대표의 정계 복귀에 대해서는 “손 전 대표가 빨리 더민주에 복귀하셨으면 좋겠다”며 “제가 대표가 된다면 그 복귀를 촉구하고 복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여건들을 논의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복귀 조건에 대해서는 “그분께서 생각하는 역할과 또 그 역할을 할 수 있는 조건이 무엇이냐 하는 것을 듣고 그것을 같이 조정해 나갈 수 있겠다 하는 것”이라며 “대표도 하셨었으니 더불어민주당에 오셔서 다시 한 번 본인의 뜻을 펼치면 참 좋겠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다”고 강조했다.
김 전 위원장은 22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한 번도 친노ㆍ친문으로 역할을 해 본 적이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제가 더불어민주당 이전에 새정치민주연합에 들어오게 된 과정에서는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역할이 있었고, 혁신위원장에 나가게 되는 데 이종걸 전 대표의 역할이 있었다”며 “또 인재영입위원장을 할 동안 김종인 대표께서 역할을 같이 하셨는데 그분들 모두가 동시대를 살아가는 정치인들로서 서로 협력과 비판을 같이 하는 정치인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런 면에서 때로 그때그때에 관계되는 분들과 역할 분담이 있었을 뿐이지, 친노, 친김 이렇게 이야기 할 수 있는 성질은 아니라고 본다. 모두를 아우르고 또 이끌어 나가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자신의 경쟁자인 추미애ㆍ송영길 후보보다 약하다는 분석에 대해서는 “물론 추미애, 송영길 두 분이 의정활동 오래하고 정치 생활을 오래하셨지만 사실 여의도 문법에 머무르고 있는 분들이고 구 정치에 젖어있는 면이 많은 분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새로운 정치, 또 새로운 대한민국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데는 조금은 부족하지 않느냐는 판단”이라고 평가 절하했다.
한편 그는 손학규 전 대표의 정계 복귀에 대해서는 “손 전 대표가 빨리 더민주에 복귀하셨으면 좋겠다”며 “제가 대표가 된다면 그 복귀를 촉구하고 복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여건들을 논의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복귀 조건에 대해서는 “그분께서 생각하는 역할과 또 그 역할을 할 수 있는 조건이 무엇이냐 하는 것을 듣고 그것을 같이 조정해 나갈 수 있겠다 하는 것”이라며 “대표도 하셨었으니 더불어민주당에 오셔서 다시 한 번 본인의 뜻을 펼치면 참 좋겠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