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문찬식 기자]인천시의회가 매월 추진하는 ‘찾아가는 시민 애로 민생현장’ 8월 방문지로 12일 부평도호부청사를 찾아 시 지정문화재의 관리실태 점검·향후 관리방안에 대해 관련기관의 의견을 청취했으며, 현장방문에는 제갈원영 시의장과 박영애·이용범·조계자·이한구 의원 등이 함께 했다.
부평도호부청사는 비옥한 부평일대에서 생산된 곡물을 보관하고 군영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된 청사로, 일제강점기에 학교를 신축하기 위해 청사를 허물고 현 부평초등학교 뒤편으로 옮겨져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어, 인천의 문화재로서 관리와 보존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제 의장은 “역사적 유물이자 시 지정문화재인 부평도호부청사가 일부만 초등학교 뒤편에서 관리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고”말하며 “역사적 유산을 우리 후손에게 물려주어 인천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도록 복원 또는 재현 등 현실에 맞는 보존대책이 조속히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논의된 공통된 의견으로는 복원은 원칙적으로 예전의 도호부청사 자리로 이전해야 하지만 현재로서는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 없어 주민여론 등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으며, 재현을 할 경우 이전 가능한 장소는 향후 추가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제 의장과 시의원은 간담회를 마치고 경인여대와 방축동 역사공원을 관계공무원과 함께 현장을 방문하면서 “자랑스런 인천의 문화재에 대한 역사적인 가치를 재창조하고 관광 상품화해 인천의 브랜드가치를 높이자”고 당부했다.
부평도호부청사는 비옥한 부평일대에서 생산된 곡물을 보관하고 군영을 지원하기 위해 설치된 청사로, 일제강점기에 학교를 신축하기 위해 청사를 허물고 현 부평초등학교 뒤편으로 옮겨져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어, 인천의 문화재로서 관리와 보존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제 의장은 “역사적 유물이자 시 지정문화재인 부평도호부청사가 일부만 초등학교 뒤편에서 관리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고”말하며 “역사적 유산을 우리 후손에게 물려주어 인천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도록 복원 또는 재현 등 현실에 맞는 보존대책이 조속히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논의된 공통된 의견으로는 복원은 원칙적으로 예전의 도호부청사 자리로 이전해야 하지만 현재로서는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 없어 주민여론 등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으며, 재현을 할 경우 이전 가능한 장소는 향후 추가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제 의장과 시의원은 간담회를 마치고 경인여대와 방축동 역사공원을 관계공무원과 함께 현장을 방문하면서 “자랑스런 인천의 문화재에 대한 역사적인 가치를 재창조하고 관광 상품화해 인천의 브랜드가치를 높이자”고 당부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