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대우 기자] 서울시립대가 2017년도 수시입시 특별전형 대상자에서 환경미화원 자녀를 빼고 장군 자녀를 넣어 논란이 되고 있다.
6일 김용석 서울시의원(국민의당 서초4)에 따르면 서울시립대는 2017학년도 고른기회전형II(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지자체 환경미화원으로 10년 이상 근무한 사람의 자녀를 제외한 반면 장군 자녀는 추가했다.
2016학년도 고른기회전형II 지원 자격에는 민주화운동 관련자와 의사상자, 산업재해자에 이어 환경미화원이 있었으나 2017년도에는 환경미화원이 빠졌다.
또 올해는 20년 이상 근무한 부사관 자녀가 대상이었는데 20년 이상 근무한 직업 군인으로 바뀌면서 장군도 포함이 됐다.
김용석 의원은 “서울시립대가 환경미화원을 배제한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으며, 장군 자녀가 고른기회전형으로 입학하는 문제와 관련해서는 군인 자녀들이 부모를 따라 여러 지역을 다니느라 고충이 있다거나 장군 자녀라고 해서 꼭 합격하는 것은 아니라고 답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립대가 환경미화원은 배제하고 장군 자녀를 특별전형 대상으로 포함하는 것이 합격 여부를 떠나 사회에 잘못된 메시지를 준다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고른기회전형은 수능 최저등급을 요구하지 않고 서류전형과 면접만 통과하면 합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서울시립대측은 이날 해명자료를 통해 “저소득층으로서 경제적 배려 대상인 환경미화원의 경우는 여전히 고른기회입학I 전형에 지원 가능하다”고 밝혔다.
시립대측은 “고른기회입학I 전형은 법령이 설정한 지원자격 기준으로 ‘국가보훈 기본법’과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지원 자격을 부여해 주료 경제적 배려대상자가 이에 해당한다”며 “고른기회입학II 전형은 대학의 독자적 기준에 의한 지원자격 설정이 가능한데, 공립대학인 시립대는 공적영역에서 건강한 사회 구성을 위한 공헌활동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또 부사관에서 직업군인으로 지원자격을 확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공적 영역에서 헌신하는 직업군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 부사관 포함 전직업군인으로 지원자격을 확대했고, 2017년에는 소방관, 경찰관으로도 확대 예정”이라며 “국방부에서 공문을 통해 지원자격 확대를 지속적으로 요청해왔다”고 밝혔다.
6일 김용석 서울시의원(국민의당 서초4)에 따르면 서울시립대는 2017학년도 고른기회전형II(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지자체 환경미화원으로 10년 이상 근무한 사람의 자녀를 제외한 반면 장군 자녀는 추가했다.
2016학년도 고른기회전형II 지원 자격에는 민주화운동 관련자와 의사상자, 산업재해자에 이어 환경미화원이 있었으나 2017년도에는 환경미화원이 빠졌다.
또 올해는 20년 이상 근무한 부사관 자녀가 대상이었는데 20년 이상 근무한 직업 군인으로 바뀌면서 장군도 포함이 됐다.
김용석 의원은 “서울시립대가 환경미화원을 배제한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으며, 장군 자녀가 고른기회전형으로 입학하는 문제와 관련해서는 군인 자녀들이 부모를 따라 여러 지역을 다니느라 고충이 있다거나 장군 자녀라고 해서 꼭 합격하는 것은 아니라고 답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립대가 환경미화원은 배제하고 장군 자녀를 특별전형 대상으로 포함하는 것이 합격 여부를 떠나 사회에 잘못된 메시지를 준다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고른기회전형은 수능 최저등급을 요구하지 않고 서류전형과 면접만 통과하면 합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서울시립대측은 이날 해명자료를 통해 “저소득층으로서 경제적 배려 대상인 환경미화원의 경우는 여전히 고른기회입학I 전형에 지원 가능하다”고 밝혔다.
시립대측은 “고른기회입학I 전형은 법령이 설정한 지원자격 기준으로 ‘국가보훈 기본법’과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지원 자격을 부여해 주료 경제적 배려대상자가 이에 해당한다”며 “고른기회입학II 전형은 대학의 독자적 기준에 의한 지원자격 설정이 가능한데, 공립대학인 시립대는 공적영역에서 건강한 사회 구성을 위한 공헌활동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또 부사관에서 직업군인으로 지원자격을 확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공적 영역에서 헌신하는 직업군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 부사관 포함 전직업군인으로 지원자격을 확대했고, 2017년에는 소방관, 경찰관으로도 확대 예정”이라며 “국방부에서 공문을 통해 지원자격 확대를 지속적으로 요청해왔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