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문찬식 기자]인천 중구의회는 인천 중구청, 남부교육지원청 관계 공무원들과 함께 최근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운영 중인 시흥시 행복교육지원센터와 서울 도봉구청을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교육혁신지구 견학을 통해 우수 운영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운영 정보를 공유하여 기존의 경직된 교육제도와 구도심의 교육 개선방향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됐다.
김철홍 의장은 “교육은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고 창의력을 키워 세상을 통찰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며 “교육이 살아야 마을이 살아날 수 있다는 말에 절감하며 주민들이 교육을 위해 타 지역을 찾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규찬 의원은 “지역현실에 따라 일부 차이가 날 수 있음은 어쩔 수 없지만 개선의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밝혔으며 이정재 의원은 “중요한 것은 집행부와 의회가 교육 개선의 필요성을 깨닫고 과감한 교육 투자와 장기적인 미래를 구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참가자들은 이후 집행부와 의회, 교육청이 함께 경직된 교육제도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 구도심을 포함한 중구 전체의 교육 혁신을 이뤄낼 수 있도록 상호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시흥시는 2011년부터 시작된 혁신교육지구 사업 시즌2를 올해부터 운영 중이며, 도봉구는 지난 해 서울형 혁신교육지구로 지정된 이후 사업을 지속하고 있다.
이번 방문은 교육혁신지구 견학을 통해 우수 운영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운영 정보를 공유하여 기존의 경직된 교육제도와 구도심의 교육 개선방향을 마련하기 위해 개최됐다.
김철홍 의장은 “교육은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고 창의력을 키워 세상을 통찰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며 “교육이 살아야 마을이 살아날 수 있다는 말에 절감하며 주민들이 교육을 위해 타 지역을 찾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규찬 의원은 “지역현실에 따라 일부 차이가 날 수 있음은 어쩔 수 없지만 개선의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밝혔으며 이정재 의원은 “중요한 것은 집행부와 의회가 교육 개선의 필요성을 깨닫고 과감한 교육 투자와 장기적인 미래를 구상해야 한다”고 말했다.
참가자들은 이후 집행부와 의회, 교육청이 함께 경직된 교육제도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 구도심을 포함한 중구 전체의 교육 혁신을 이뤄낼 수 있도록 상호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시흥시는 2011년부터 시작된 혁신교육지구 사업 시즌2를 올해부터 운영 중이며, 도봉구는 지난 해 서울형 혁신교육지구로 지정된 이후 사업을 지속하고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