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최근 6년간 검사대상 선박의 99% 이상이 안전검사 결과 합격 판정을 받았지만 선박해양사고는 매해 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부실한 안전검사에 대한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황주홍 의원은 11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선박안전기술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황 의원에 따르면 최근 6년간 검사[대상] 선박의 합격률은 꾸준히 99% 이상을 유지해 높은 합격률을 보이고 있었지만 선박해양사고는 2013년 이후 매년 늘어 2013년 903건, 2014년 1083건, 2015년 1452건으로 나타났다.
사교유형별로 보면 2015년 기준 기관손상이 424건(29.2%)으로 가장 많고, 충돌ㆍ접촉이 317건(21.83%), 안전운항저해가 157건(10.8%) 순이었다.
기관손상은 안전검사와 직결되는 만큼 부실한 선박안전검사가 해양사고 발생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드러났다는 게 황 의원의 지적이다.
실제로 부실한 안전검사로 인해 검찰 등 수사기관에 적발된 사례만 2015년 4건, 2016년 2건에 달했다.
황 의원은 “부실한 안전검사가 선박해양사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명백히 드러나게 됐다”며 “해사안전을 확보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보호에 이바지해야 할 선박안전기술공단의 명백한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황주홍 의원은 11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선박안전기술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황 의원에 따르면 최근 6년간 검사[대상] 선박의 합격률은 꾸준히 99% 이상을 유지해 높은 합격률을 보이고 있었지만 선박해양사고는 2013년 이후 매년 늘어 2013년 903건, 2014년 1083건, 2015년 1452건으로 나타났다.
사교유형별로 보면 2015년 기준 기관손상이 424건(29.2%)으로 가장 많고, 충돌ㆍ접촉이 317건(21.83%), 안전운항저해가 157건(10.8%) 순이었다.
기관손상은 안전검사와 직결되는 만큼 부실한 선박안전검사가 해양사고 발생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드러났다는 게 황 의원의 지적이다.
실제로 부실한 안전검사로 인해 검찰 등 수사기관에 적발된 사례만 2015년 4건, 2016년 2건에 달했다.
황 의원은 “부실한 안전검사가 선박해양사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명백히 드러나게 됐다”며 “해사안전을 확보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보호에 이바지해야 할 선박안전기술공단의 명백한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