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의 이른바 ‘개헌 저지 보고서’를 두고 당내 지도부와 비주류 의원들 간 갈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민주당 이상민 의원은 5일 이번 사안에 대해 “특정 인물을 위해 했다는 의심을 받기에 충분하다”고 비판했다.
국회 개헌특위 위원이기도 한 이 의원은 이날 오전 KBS <안녕하십니까 윤준호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특정 인물을 전제로, 또 대선 후보로 기정사실화 하고 그 사람의 유불리를 전제로 대응 전략을 세웠다는 의심을 받기에 충분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선 문구에도 나오지만 비문, 친문 등등 하면서 아예 분파적 시각을 전제로 해서 문재인 전 대표가 민주당의 대선 후보가 됐음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며 “아직 당의 공식 후보가 결정되기 전 단계인데, 문재인 전 대표가 아닌 대선에 나가려는 다른 사람들이 볼 때는 전혀 공정치 못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그는 “민주정책연구원은 몇몇 사람을 위한 기구가 아니고 국민 세금으로 보조를 받아서 운영하는 공적 기구다”라며 “따라서 민주당의 전체 공익적 이익을 위해 봉사해야 할 공적 기구인 만큼 제한된 몇몇 인사들에게만 보여주기 위해 참고용으로 했다는 것도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친문 패권주의’ 지적에 대해서는 “중요한 것은 그런 정서인데, 당내 어쨌든 문재인 전 대표의 지배력이 압도적으로 있는 건 사실”이라며 “앞으로 있을 대통령 선거의 후보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도 치열하고 공정한 결정이 이뤄지기보다는 이미 기울어있다는 게 상당 부분 깔려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보고서에 나오는 개헌 관련 부분에 대해서는 “개헌도 개혁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공사를 구분 못하고 공적 기구가 사적으로 악용되고, 모든 공적 기구가 제 역할을 못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시급히 개선을 해야 한다”며 “헌법 개정이든 법률 개정이든 총 동원해서 해야 하는 건 촛불 민심이라고 보는데, 그렇기 때문에 개헌을 배제하는 논리는 동의하기 어렵다. 문재인 대표는 그런 차원에서 개헌보다는 개혁이 먼저라고 입장이 바뀌었던 것 같다”고 비판했다.
민주당 이상민 의원은 5일 이번 사안에 대해 “특정 인물을 위해 했다는 의심을 받기에 충분하다”고 비판했다.
국회 개헌특위 위원이기도 한 이 의원은 이날 오전 KBS <안녕하십니까 윤준호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특정 인물을 전제로, 또 대선 후보로 기정사실화 하고 그 사람의 유불리를 전제로 대응 전략을 세웠다는 의심을 받기에 충분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선 문구에도 나오지만 비문, 친문 등등 하면서 아예 분파적 시각을 전제로 해서 문재인 전 대표가 민주당의 대선 후보가 됐음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며 “아직 당의 공식 후보가 결정되기 전 단계인데, 문재인 전 대표가 아닌 대선에 나가려는 다른 사람들이 볼 때는 전혀 공정치 못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그는 “민주정책연구원은 몇몇 사람을 위한 기구가 아니고 국민 세금으로 보조를 받아서 운영하는 공적 기구다”라며 “따라서 민주당의 전체 공익적 이익을 위해 봉사해야 할 공적 기구인 만큼 제한된 몇몇 인사들에게만 보여주기 위해 참고용으로 했다는 것도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친문 패권주의’ 지적에 대해서는 “중요한 것은 그런 정서인데, 당내 어쨌든 문재인 전 대표의 지배력이 압도적으로 있는 건 사실”이라며 “앞으로 있을 대통령 선거의 후보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도 치열하고 공정한 결정이 이뤄지기보다는 이미 기울어있다는 게 상당 부분 깔려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보고서에 나오는 개헌 관련 부분에 대해서는 “개헌도 개혁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에 공사를 구분 못하고 공적 기구가 사적으로 악용되고, 모든 공적 기구가 제 역할을 못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시급히 개선을 해야 한다”며 “헌법 개정이든 법률 개정이든 총 동원해서 해야 하는 건 촛불 민심이라고 보는데, 그렇기 때문에 개헌을 배제하는 논리는 동의하기 어렵다. 문재인 대표는 그런 차원에서 개헌보다는 개혁이 먼저라고 입장이 바뀌었던 것 같다”고 비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