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전용혁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7일 전격 구속된 것과 관련, 새누리당 정우택 원내대표가 “특검에 우려의 시각을 갖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정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SBS <시사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법원의 판결을 존중하고, 삼성도 그동안 기업 규모와 우리 국민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라든지, 국민적 기대에 걸맞게 행동해왔는지 반성을 해야 하지만, 특검은 그동안 피해자에 대한 인권 보호라든지 변론권, 발언권의 보장 등이 준수됐는지 한 번 짚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시중에서는 강압수사 논란이라든지, 재벌 총수에 대한 무리한 끼워맞추기 표적 수사가 아니냐, 또 확증된 범죄 사실도 아닌데 혐의의 무차별적 공개 논란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된 것도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이번에 검찰에서 특검으로 넘어갈 때 직권남용죄나 이런 것들은 걸었지만 뇌물죄를 걸지 못했다. 그래서 뇌물죄를 사후에 짜맞추기 식으로 이뤄지는 것 아닌가 하는 반론이 굉장히 많이 대두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제가 생각하기에도 완전히 죄가 드러났을 때, 미국도 보면 클린턴이 본인도 스스로 인정하고 특검의 결과가 다 나온 뒤에 탄핵의 절차가 진행됐는데, 우리나라도 모든 것이 범죄가 드러났을 때 그 다음에 대통령이 사직을 해야 된다고 해서 탄핵으로 가야 했다”며 “우리나라는 그게 아니라 탄핵 먼저 해놓고 특검을 통해 뇌물죄로 짜맞추기 형식이라는 비난을 받게 됐기 때문에 이것에 대해 일의 순서가 잘못된 게 아닌가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SBS <시사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법원의 판결을 존중하고, 삼성도 그동안 기업 규모와 우리 국민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라든지, 국민적 기대에 걸맞게 행동해왔는지 반성을 해야 하지만, 특검은 그동안 피해자에 대한 인권 보호라든지 변론권, 발언권의 보장 등이 준수됐는지 한 번 짚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시중에서는 강압수사 논란이라든지, 재벌 총수에 대한 무리한 끼워맞추기 표적 수사가 아니냐, 또 확증된 범죄 사실도 아닌데 혐의의 무차별적 공개 논란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된 것도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이번에 검찰에서 특검으로 넘어갈 때 직권남용죄나 이런 것들은 걸었지만 뇌물죄를 걸지 못했다. 그래서 뇌물죄를 사후에 짜맞추기 식으로 이뤄지는 것 아닌가 하는 반론이 굉장히 많이 대두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제가 생각하기에도 완전히 죄가 드러났을 때, 미국도 보면 클린턴이 본인도 스스로 인정하고 특검의 결과가 다 나온 뒤에 탄핵의 절차가 진행됐는데, 우리나라도 모든 것이 범죄가 드러났을 때 그 다음에 대통령이 사직을 해야 된다고 해서 탄핵으로 가야 했다”며 “우리나라는 그게 아니라 탄핵 먼저 해놓고 특검을 통해 뇌물죄로 짜맞추기 형식이라는 비난을 받게 됐기 때문에 이것에 대해 일의 순서가 잘못된 게 아닌가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