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현, “중국 반발, 시작에 불과해”

    정당/국회 / 전용혁 기자 / 2017-03-06 10:25:51
    • 카카오톡 보내기
    “경제 뿐 아니라 외교, 안보, 영토 관련 보복 올 것”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사드) 부지 계약 체결 이후 중국의 보복 조치가 노골화되고 있는 가운데 자유한국당 윤상현 의원이 “중국의 지금 반발은 시작에 불과하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윤 의원은 6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사드는 북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한 자위권 방어적 조치는 맞지만 사드가 또한 한반도 통일을 지향하는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 우리의 외교적 주도권을 확보하는 전략적 레버리지의 성격도 있기 때문에 신중해야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중국은 이 사드를 미국 주도 하 MD체제 편입으로 보고 있고, 미국 국방부 문서들도 다 그렇게 나와 있으며 저 개인적으로 이 사드 배치는 미국 주도 하 MD체제 편입에 서곡”이라며 “한미 간 한반도 동맹이 한미일 지역동맹으로 가는 전초단계로 보기 때문에 중국이 반발할 수밖에 없고, 그러면 사드 배치 전에 우리가 중국하고 서로 신뢰 바탕 위에 전략적 소통을 통해 우리가 한미일 지역 동맹으로 가는 게 아니라고 명확히 인식을 심어준 다음에 배치해야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앞으로 상상할 수 없는 (중국의)보복이 올 것이고, 그 보복은 경제 뿐 아니라 외교, 안보, 심지어 영토 등까지 광범위하게 온다”며 “이것을 중국에 굴복하자는 의미에서 얘기하는 건 아니고 우리가 중국을 아는 차원에 중국을 좀 더 알아서 우리 국가 이익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저희가 작년 7월 사드 배치 결정을 내렸는데 (중국은)그때부터 상상할 수 없는 보복 조치를 검토해 놨다”며 “지금 관광객 금지한다, 롯데마트에 대해 위생소방 점검한다 등인데, 앞으로는 일단 정부가 개입하는 게 아니라 중국에 있는 중국인 소비자들이 한국 상품의 문제점을 고발하기 시작하고, 그러면 불매운동이 시작되면서 한국제품에 대해 신뢰성에 엄청난 타격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사드 배치 결정을 차기 정부로 넘겨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사드는 구체적인 군사정책이 있기 때문에 다음 정부로 넘기라는 건 중국이 원하는 중화주의에 굴복하라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중국은 사드를 빌미로 해서 한국 정치권이나 국민여론 사이에 중국에 맞서지 말라는 교훈을 심어주려고 하고 있다”며 “설사 민주당 정부가 들어선다고 하더라도 현재 사드 배치 결정에 대해 끝까지 밀고 나가는 게 맞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