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채정 전 의장, “정치인들, 책임지고 치유의 과정으로 나가야”

    정당/국회 / 전용혁 기자 / 2017-03-10 20:00:00
    • 카카오톡 보내기
    “선거란 건 대립의 과정이자 통합의 과정”
    [시민일보=전용혁 기자] 헌법재판소가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에 대해 '인용' 결정을 내린 가운데 임채정 전 국회의장이 “정치인들은 역사적 책임을 지고 치유의 과정으로 나가야 할 것”이라고 충고했다.

    임 전 의장은 10일 오전 YTN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어떤 과정을 거치더라도 봉합이라는 말은 부족하지만 어쨌든 치유와 화해의 과정으로 가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것이 없이는 한국 사회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며 “그리고 과연 그것이 가능하겠는가 하면 가능하게 만들어야 한다. 이번에 대통령 선거도 그 이후에 있을 것이고, 그런 선거란 것은 대립의 과정이기도 하지만 통합의 과정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통합의 방안에 대해서는 “정치인들이 특별한 방법이 있지는 않겠지만 정치적 행위로써 국민들에게 호소하고 설득해야 한다”며 “이번 국면에서 발생한, 또는 나타난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대한 해답을 정책적으로도 제시하고 또 그러한 정책이나 주장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 또 그런 모습을 통한 호소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어떤 사회에나 있을 수 있는 갈등과 대립에서 파생할 수 있는 현상은 국민들의 몫인데, 국민들의 성숙한 의식이 필요한 대목”이라며 “민주사회에서란 것은 견해차가 있는 것이고, 찬반이 있다. 그 결과가 적법한 기관이나 행사를 통해 나타났다고 하면 거기에 승복을 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국가가 유지될 수 없고 사회가 건전하게 존립할 수도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탄핵 반대측의 이른바 ‘대선 보이콧’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렇게 되면 국가가 존립할 수 없는 것”이라며 “국가란 것은 법과 제도로 운영되는 것인데 민주주의의 기본 질서인 법과 제도를 결과적으로 부인한다고 하는 건 국가와 사회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것은 성숙한 국민의식과 그에 따른 행동의 몫이고, 그것은 국민들이 또한 이번 사태를 깊이 생각하고 거기에 대한 성찰을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