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당, 중도 외연확장 모색...‘보수대통합’ 주장도
국민-바른, 양당통합 논의...‘8월 통합전대’ 가능성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5·9 대선이 끝나자마자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론’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정계 개편의 단초가 될 가능성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집권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연대 논의 상황을 주시하면서 대응 방안을 놓고 고심 중이다.
자유한국당에선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함께하는 ‘보수대통합’ 주장까지 나왔다.
민주당 관계자는 15일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0일 국회를 찾아 국민의당에 대해 ‘뿌리는 같은 정당’이라고 말하는 등 '동지적 관계'를 강조했다”며 “문재인 정부가 국민의당을 협치의 제1파트너로 염두에 두고 있는 정황"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민주당이 본격적으로 손을 내밀기도 전에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간 통합 움직임이 구체화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민주당 관계자는 “호남을 기반으로 한 정당이 구 여권인 바른정당과 손을 잡는 것을 지지자들이 용인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실제 통합이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통합무용론'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단순히 몸집을 불리기 위한 통합은 또 다른 차원의 역풍을 가져올 것이기 때문에 결국은 성공할 수 없다"고 단언했다.
국민의당 움직임을 조기에 차단해야 한다는 의견도 관심을 끌고 있다.
당 핵심 당직자는 “국민의당이 어디까지나 민주당과 파트너십을 갖고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상호 원내대표가 지난 12일 퇴임 기자회견에서 “향후 어떤 시점과 방법이 [동원]될지 모르겠지만 (국민의당과)통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며 “뿌리가 같은 정당이 만나야 한다”고 언급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대선 패배로 정권 재창출에 실패한 자유한국당 내에서 쏟아지고 있는 중도보수로의 외연 확대 주장도 정계개편 가능성에 힘을 싣는 정황이다.
당 관계자는 “대선 과정에서는 '태극기세력'으로 대표되는 대구·경북(TK)의 전통적인 지지층부터 지켜야 한다는 전략을 따를 수밖에 없었지만, 앞으로 중도보수층을 포섭하지 못하면 'TK 지역정당'으로 전략할지 모른다”며 “대선 득표 결과를 놓고 보면 외형상 TK 지역당으로 고립된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당 안팎에서는 '이대로 가다간 내년 지방선거도 참패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함께 중도보수층까지 아우르는 외연 확장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고 덧붙였다.
정우택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 역시 “탄핵이나 친박 프레임에 갇혀서는 안 되고 소위 '빅박스'로 외연을 넓혀야 한다”며 “합리적 보수·중도 보수 세력을 규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4선 중진인 홍문종 의원도 "대선에서 호남 외 지역에서 안철수 후보가 받은 표와 유승민 후보가 받은 표는 모두 한국당의 표심이 될 수 있다"며 "이 중도보수 세력을 다시 끌고 오는 게 목표"라며 '보수대통합'을 제안했다.
하지만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주도권 경쟁을 의식한 듯, '흩어지면 죽는다'는 기조를 유지하면서 거대 양당과의 통합에 선을 긋는 모습이다.
앞서 주승용 국민의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와 주호영 바른정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지난 1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만나 양당 통합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주 원내대표는 '8월 통합 전대'를 거론했고, 주호영 원내대표는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이념과 정책적으로 큰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