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주당의 한 핵심 관계자는 7일 “추대표는 이낙연 국무총리 내정 발표 10분 전 연락 외에는 청와대에서 전화 한 통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실제 추미애 대표는 전날,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린 고위 당·정·청 회의에서 “지금은 민생과 국민을 위한 협치의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할 때”라며 작심발언을 쏟아냈다.
특히 청와대를 겨냥, “당·청 간 충분한 사전 협의와 공감대 마련이 협치의 전제라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린다”면서 당을 존중하라는 메시지로 압박하고 나섰다.
추대표의 이 같은 도발은 대선기간 동안 ‘수평적 당·청 관계’를 강조했고, 당선 직후엔 “이번 정부는 문재인 정부가 아니라 민주당 정부”라고 공언해왔던 문재인 대통령의 불통을 겨냥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실제 대선 이후 당 안팎에서 청와대에 대한 실망감을 토로하는 목소리가 빈번해졌다는 지적이다.
청와대는 지난 달 26일 파견 당직자 6명을 당으로 복귀시키면서도 사전논의 없는 일방적 진행으로 추 대표의 반발을 산 바 있다.
지난달 10일 문 대통령이 국회를 방문했을 때도 3야당 대표를 만나면서 추 대표와의 일정을 배제해 뒷말을 낳았다.
추 대표는 당시 문 대통령을 만나기 30분 전 청와대로부터 취소 통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추 대표는 정부조직 개편안도 발표 전날 밤 김태년 당 정책위 의장에게 초안을 전달 받은 게 전부였다.
이 밖에도 추대표가 외교안보라인 일부 인사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으나 반영되지 않는 등 당청관계에서 갈수록 추 대표의 한계점이 선명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당 관계자는 “비록 추 대표가 당 대표로서 권한을 갖고 있지만 민주당 주류인 친문계의 지지를 받아 대표에 당선된 만큼 독자 행보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추 대표가 중앙선대위 인선과 당 인사추천위 구성 과정에서 친문계의 반발에 직면한 것이 대표적 사례”라고 말했다.
이어 “당 주도권을 이해관계를 같이하는 친문계가 쥔 상황에서 정당 책임정치를 주장하고 있는 추 대표와 소통의 필요성은 청와대 입장에서는 우선순위가 낮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전날 추 대표의 제안에 따라 고위 당정청회의 정례화에 합의한 만큼 향후 당청관계가 ‘불통’에서 ‘소통’으로 변화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아직은 남은 모습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