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환 낙마...야3당, 조국 정조준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7-06-18 13:53:12
    • 카카오톡 보내기
    국민의당 초선도 “인사실패 책임자 문책” 촉구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안경환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자신의 허위 혼인신고와 아들의 학교문제 등에 대한 여론 악화로 낙마한 이후에도 여타 내각 후보자들의 자질 논란이 끊이질 않는 가운데 야3당이 18일 주무책임자인 조국 정무수석을 책임론을 겨냥하고 나섰다.

    특히 과거 지방대에 있던 조 수석을 참여정부 당시 서울대 교수였던 안 후보자가 서울대로 끌어줬다는 의혹 등이 인터넷을 중심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양상이다.

    국민의당 초선의원 10여명은 이날 오전 성명을 통해 "인사실패 인정하고 책임자를 문책하라"며 "우선 조국 민정수석과 조현옥 인사수석이 책임을 통감하고 거취를 스스로 밝힐 것을 엄중히 요구한다"고 압박했다.

    이어 "검증의 책임자인 조국 민정수석이 도저히 모를 수가 없는 사안을 의도적으로 대통령에게 보고를 누락한 것인지 국민들은 알고 싶어 한다"며 "청와대가 (안 후보자의) 강제 혼인신고 사실을 언론보도를 보고 알았다면 무능의 극치이고, 알면서도 은사에 대한 보은지심으로 대통령께 보고를 누락했다면 불충의 극치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안 후보자와 청와대는 허위 혼인신고 건이 불거지자 "사전에 청와대 질의가 있었다(안후보자), 언론보도를 보고 알았다(청와대)" 서로 엇갈린 입장을 보이며 진실공방을 벌인 바 있다.

    이들은 이어 "5대 비리 공직배제 원칙은 이미 누더기가 됐고, 5대 원칙을 비웃듯 지명되는 장관 후보들의 행진에 국민은 헛웃음을 웃고 있다"며 "강경화 후보자에 대한 임명시도를 멈추라고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성명에는 김경진·김삼화·손금주·신용현·이용주·이태규·장정숙·채이배·최도자·최명길 의원이 참여했다.

    자유한국당도 전날 청와대 인사검증 시스템이 무너졌다며 인사실패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성토하면서 청와대 비서실을 상대로 국회 운영위 소집을 계획 중이다.

    국회 운영위원장인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조현옥 인사수석과 조국 민정수석은 무엇을 하는 사람들인가”라면서 “잘못되고 부실하기 짝이 없는 대통령 인사보좌에 전적으로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준길 대변인은 논평에서 "민정수석실은 국무위원 후보자를 검증할 때 관련 제적등본을 제출받아 이혼 여부와 소송결과를 당연히 확인한다"며 "문재인 대통령은 안 후보자를 추천한 자가 누구인지 밝히고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선동 원내수석부대표는 "직무수행에 부적합한 사람에 대해선 있는 그대로 치열하게 검증하겠다"며 음주 운전으로 논란이 된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와 논문표절 의혹이 불거진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겨냥하기도 했다.

    바른정당 관계자 역시 "이 모든 문제는 문재인 정부의 인사 검증 시스템이 무너진 데 있고, 그중에서도 핵심은 조국 민정수석"이라며 “문 대통령은 그를 문책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한편 2014년 말 서울 하나고 재학 당시 불미스러운 일로 퇴학 처분을 받았다 안 후보자의 탄원서 제출로 징계수위를 낮췄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아들 안모씨(20)가 지난 해 서울대 수시모집으로 입학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특혜 의혹 논란이 확산되는 모양새다.

    서울대에 따르면 안씨는 수능 최저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학생부종합전형(학종)만으로 2016년 서울대 수시전형 합격했다.

    이런 가운데 당시 학생부에 관련기록이 남았다면 학종 100%로 치러지는 수시 전형에 합격이 불가능했을 거라는 관측 속에서 모종의 커넥션이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안 후보자는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저의 아들은 재학하던 학교의 남녀학생을 엄격하게 분리시키는 학칙을 위반해 학내 절차를 거쳐 중징계 처분을 받았다”면서 “학교 측에서 징계절차의 일환으로 학생의 반성문과 함께 부모의 탄원서를 제출하라고 요구해 왔기에 부끄럽고 참담한 아비의 심경으로 탄원서를 작성해 제출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적은 결코 없다”고 해명했지만 "심각한 '학종 비리'" "정유라보다 심한 입시비리" 등 격앙된 여론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학생들이나 학부모들의 반발이 커지는 가운데 안 후보자 낙마사태가 아들 문제로 또 다른 국면에 접어들게 될 지 귀추가 주목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