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앞서 문 대통령은 전날 고리1호기 가동 영구정지 선포식에 참석, "원전 중심의 발전정책을 폐기하고 탈원전, 탈핵 시대로 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신의원은 "국내 전력생산 중 원자력발전은 화력발전에 이은 기저발전 수단"이라며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10곳과 원전 5∼6기의 가동을 중단할 경우 현재 이를 대체할 수단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탈원전 정책이 장기적 관점에서 필요한 부분이고 노후 원전의 폐쇄에 대해서는 동의한다"면서도 "원전을 아무 대책 없이 무조건적으로 정지시킬 경우 (전기요금 인상분 등) 고스란히 서민 가계의 부담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육성계획에 대해 조목조목 근거를 들어가며 비판했다.
신 의원은 " 신재생 에너지의 생산단가는 원자력발전과 화력발전에 비해 적게는 2배에서 많게는 6배까지 비싸다"며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및 기술력이 미리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비중만 높일 경우 부족한 기술력과 설비는 외국에서 충당할 수 밖에 없다"며 국부 유출과 국내 기술발전 저해 가능성을 우려했다.
그러면서 " 문재인 정부는 대안 없는 성급한 탈원전 정책을 즉각 중단하고, 국민적 합의를 전제로 한 탈원전을 비롯한 전력 수급의 총체적 중장기 정책을 마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