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최성일 기자] 박성명 부산시의원은 ‘2030부산등록엑스포’ 유치 과정에 대해 엑스포 개최예정지의 항공소음 문제와 시민 공감 부족을 질타했다.
박 의원은 최근 5분자유발언을 통해 “등록엑스포 개최시 반드시 선행돼야 할 ‘국가사업’ 선정을 위해서는 부산시민의 의지 결집이 아주 중요한 요소”라면서 “여전히 많은 시민들은 시의 유치의지를 인식하고 공감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개최예정지인 맥도 일대의 항공소음 문제는 김해공항 확장 건으로 개최장소의 적합성 논란으로 확대돼 결국 새정부의 지역공약에서 배제되는 결과로까지 이어졌다”면서 “신공항 정책이 선회된 후, 서부산 일대의 여타 사업들은 수정·보완되고 있지만 엑스포 입지에 대한 재점검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지난 5월 경제문화위원회에서는 황보승희 위원장의 주재로 ‘2030부산등록엑스포 유치를 위한 열린정책토론회’를 가졌는데, 부산만의 콘텐츠 구성 부족, 시민 공감대 부족, 미흡한 사후관리 계획 등 그간 계속적으로 제기돼 온 문제점이 여전히 지적됐다”면서 이는 “시의 전략 부재와 주먹구구식 대응 방식”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부산등록엑스포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박 의원은 집행부에 ▲엑스포 유치에 대한 시민 공감대 형성 ▲개최 정당성 강화 ▲국내외 전문가, 시민, 의회 등 다양한 주체의 협조와 참여 유도 등을 촉구했다.
특히 박 의원은 “필요하다면 장소 선정을 위한 전면 재검토도 실시해야 할 것”이라면서 “철저한 준비야말로 시민과 정부, 나아가 국제사회로부터의 전폭적인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는 원동력임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최근 5분자유발언을 통해 “등록엑스포 개최시 반드시 선행돼야 할 ‘국가사업’ 선정을 위해서는 부산시민의 의지 결집이 아주 중요한 요소”라면서 “여전히 많은 시민들은 시의 유치의지를 인식하고 공감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개최예정지인 맥도 일대의 항공소음 문제는 김해공항 확장 건으로 개최장소의 적합성 논란으로 확대돼 결국 새정부의 지역공약에서 배제되는 결과로까지 이어졌다”면서 “신공항 정책이 선회된 후, 서부산 일대의 여타 사업들은 수정·보완되고 있지만 엑스포 입지에 대한 재점검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지난 5월 경제문화위원회에서는 황보승희 위원장의 주재로 ‘2030부산등록엑스포 유치를 위한 열린정책토론회’를 가졌는데, 부산만의 콘텐츠 구성 부족, 시민 공감대 부족, 미흡한 사후관리 계획 등 그간 계속적으로 제기돼 온 문제점이 여전히 지적됐다”면서 이는 “시의 전략 부재와 주먹구구식 대응 방식”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부산등록엑스포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박 의원은 집행부에 ▲엑스포 유치에 대한 시민 공감대 형성 ▲개최 정당성 강화 ▲국내외 전문가, 시민, 의회 등 다양한 주체의 협조와 참여 유도 등을 촉구했다.
특히 박 의원은 “필요하다면 장소 선정을 위한 전면 재검토도 실시해야 할 것”이라면서 “철저한 준비야말로 시민과 정부, 나아가 국제사회로부터의 전폭적인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는 원동력임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