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유한국당 관계자는 22일 “비리의혹의 끝을 알 수 없는 ‘양파후보’”라면서 “장관으로서 자격 미달”이라고 송 후보자를 직격했다.
실제 송 후보자는 2013년 7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30개월 동안 L사의 비상근 자문역으로 활동했다.
군과 방산업계에 따르면 합동참모본부 의장이나 각군 참모총장 등을 지낸 대장 출신 군 인사로 방산업체와 자문 계약을 한 경우는 송 후보자가 유일하다. 송 후보자는 L사 자문역으로 월 800만원을 받았다고 국회 청문 답변서를 통해 밝혔다.
그러나 송 후보자가 L사의 정식 직제에 등록돼 있지 않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그가 비공식적이거나 음성적 업무에 투입된 게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L사의 송후보자 영입 배경에 일종의 대정부 ‘로비스트’ 역할에 대한 기대감이 있었던 게 아니냐는 것이다.
또한, 송 후보자는 해군참모총장 전역 후인 2009년 1월부터 2011년 9월까지 33개월 동안 율촌 상임고문을 지낸 데 이어 법무법인 율촌의 고문을 맡아 10억여원에 달하는 고액의 자문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전관예우' 의혹에도 휘말렸다.
뿐만 아니라 송 후보자는 해군참모총장 재임 시절 발생한 ‘계룡대 군납 비리’ 사건을 축소하려 했다는 의혹에도 직면해 있다.
계룡대 근무지원단 군납 비리 사건은 2006년 김영수 전 해군 소령의 내부고발로 세상에 나왔지만 당시에는 묵살됐다가 3년 뒤인 2009년에서야 국방부의 비리확인 작업을 거쳐 관계자 31명이 형사처벌됐다.
김학용 자유한국당 의원이 공개한 당시 수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송 후보자는 2007년 8월 해군본부 수사단이 보고한 이 문건을 결재하면서 "(해당 사건을) 법무실에 넘겨 행정조치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대해 김학용 의원은 "군 법무실 성격상 징계와 수사를 모두 진행할 수 있는데, 당시 송 후보자의 지시는 수사에 따른 관련자 사법 처리 대신 징계만 하라는 가이드라인으로 여겨졌다”고 지적했다.
실제 송 후보자 지시 이후 수사는 중단됐고, 징계 대상자 7명 중 5명은 증거 부족으로 처벌을 피했다.
뿐만 아니라 해군본부가 10억여원어치 가구 납품 계약 335건 중 99.4%인 333건에 대해 가구업체가 제시한 고가 견적을 그대로 수용하면서 3억9,000만원의 국고 손실이 생겼다는 국방부 조사 내용을 당시 송 후보자가 지휘한 해군본부 수사단이 넘겨받고도 확인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서둘러 수사를 종결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결국 이 수사는 2년 뒤인 2009년 국방부 특별조사단의 재조사 결과 부실 수사로 판명되기도 했다.
김 의원은 “송 후보자가 군납 비리 사실을 보고 받고도 이를 무마하려 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송 후보자의 딸, 송 모 씨가 국책연구기관인 국방과학연구원(ADD)에서 지난 10년 동안 475일의 휴가와 휴직을 사용한 것도 논란이 일고 있다. 이 밖에도 딸 송 씨는 지난 2008년 2월에, 송 후보자는 2달 뒤인 4월에 ADD에 입사한 것을 두고도 특혜 논란이 일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