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앞서 국민의당은 대선을 나흘 앞두고 "문재인 대통령 아들 준용씨가 고용정보원에 채용될 무렵 청와대 압력이 있었다"고 증언한 문준용씨의 미국 파슨스 스쿨 동료 녹취를 공개, 파란을 일으킨 바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폭로에 안철수 전 대표 측근 인사인 이유미씨가 허위인물로 녹음파일을 조작, 개입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경찰은 전날 이씨를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긴급체포했다.
이에 대해 이상돈 국민의당 의원은 27일 “중요한 것은 (이준서 전 최고위원도) 안철수 전대표가 처음 창당 때부터 데려온 사람이 라는 것”이라며 안철수 책임론을 제기했다.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 나선 이 의원은 “이유미라는 문제의 인물도 진심캠프 때부터 안철수 팬 중에서도 강렬한 팬"이라며 "(안철수)자신이 데려온 사람이 사고를 일으켰으니 거기에 대해 응당 정치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다만 안철수 전 대표의 직접 연루 여부에 대해선 “(안 전 대표가) 알고 그럴 사람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당 차원의 관여 가능성에 대해서도 “설마하니 이용주 의원이나 그 위에 선대위원 본부장 이런 사람들이 이걸 알고서 그럴 리는 없다”고 일축했다.
그러나 tbs교통방송 진해자인 김어준씨는 27일 “이유미 씨는 액션만 하고 플랜을 짠 사람은 따로 있을 것”이라고 윗선 개입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앞으로 ‘누구까지 알았냐’가 포커스가 될 것"이라며 “대선을 처음 치르는 정치지망생들이 대선 나흘 전에 이런 정도의 위험한 일을 스스로 판단해 조작했다는 것을 굉장히 상상하기 힘들다.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내용을 대선에서 자신 있게 조작해서 발표하려면 기본 소스부터 있어야 되는데 녹취록이라고 그때 나왔던 내용들을 보면 최소한 기본사실들 베이스 하에 거짓말을 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기본사실들은 누군가 제공했다. 그리고 대본을 짜고 액션을 한 것이고, 액션 플랜을 짠 사람은 따로 있었을 것”이라고 거듭 의문을 제기했다.
정의당 노회찬 의원도 “이 정보는 공식 발표 이전에 당연히 최고위직에까지 보고됐고, 당내 선거를 오래 치러본 이들의 손을 거친 것으로 보인다”며 ‘윗선 개입’가능성을 제기했다.
한편 조사 과정에서 이유미 씨는 지시자로 이준서 전 최고위원을 지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씨는 당원들에게 보낸 문자 메시지에서도 "모 위원장(이준서 전 최고위원)의 지시로 허위 자료를 만든 일로 남부지검에 참고인 조사를 받게 됐다"며 "당이 당원을 케어(보호)하지 않는다"고 호소한 바 있다.
앞서 검찰은 대선 당시 국민의당 공명선거추진단 부단장을 맡았던 김인원 변호사와 이준서 전 최고위원을 차례로 불러 조사했다.
이준서 전 최고위원은 이유미 당원을, 김인원 전 부단장은 이준서 전 최고위원을 각각 믿고 해당 제보 내용을 '윗선'에 보고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단 당내에서는 이번 사건과 관련, ‘윗선’ 개입 가능성엔 선을 그으면서도 이유미씨와 이준석 전 최고위원이 모두 안철수 전 대표 측근이라는 점에서 ‘안철수 책임론’이 제기되는 양상이다.
이유미씨는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선후보의 제자로 '청춘콘서트' 서포터즈로 활동했으며, 2012년 대선캠프에도 참여한 바 있다. 이 때의 경험을 토대로 '66일 안철수와 함께 한 희망'이라는 책을 저술하기도 했고 지난 20대 총선 때 고향인 전남 여수 지역구에서 출사표를 던지기도 했다.
이준서 전 최고위원은 에코준컴퍼니라는 소셜 벤처사업가로 작년 1월 15일 인재영입 1호로 국민의당에 영입됐으며, 그 해 7월 7일 박지원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이 그를 청년비대위원으로 인선하기도 했다. 지난 대선 당시에는 안철수 캠프에서 2030희망위원장직을 맡았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