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찌감치 당권도전 의중을 드러냈던 천정배 의원은 12일 SBS라디오 '박진호의 시사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대선 패배 이후 국민의당을 지키고 살리기 위해 대표가 되겠다는 결심을 이미 했다"면서도 "당이 심각한 위기에 봉착한 마당에 출마선언을 하거나 선거운동을 하고 다닐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천 의원은 "당이 검증을 소홀히 한 것에 대해서 책임을 통감한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우리 당이 이번 사태의 원인과 경과를 잘 살피고, 깊이 반성하고, 스스로 변화하고 혁신하는 계기로 삼도록 하겠다"고 머리를 숙였다.
특히 천 의원은 당 개혁방안에 대해 "(그동안 당내 소통과 협치가 부족해 한두 명에 의해 당이 좌우되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다”며 “이를 고치고 국민적 기대를 회복하는 것이 우리들의 과제”라고 제시했다.
천 의원은 "우리나라 정치가 그동안의 승자 독식, 무한 극한 대결의 양당 기득권 정치에서 협치, 다당제, 합의제 민주주의로 가야 한다는 국민적 열망의 표현이고. 그것을 작년 총선을 통해서 국민의당이 앞장서서 열었다"며 "총선 이후 국민적 기대를 충족하지 못했지만 국민의당에 대한 시대적 요구, 기대가 아직도 분명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전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당을 위기에서 구해 보겠다”며 출마를 선언한 정동영 의원은 보수진영 일부와의 연대 가능성을 언급했다.
다만 그는 “구체적인 정당들과의 협력을 말하기는 매우 이르다”고 거리를 두면서 "자유한국당은 우리가 생각하는 보수와는 거리가 먼 세력이고 바른정당도 새로운 보수로 거듭날 것이라는 기대에 못 미치는 것 같다"고 밝혔다.
정의원은 특히 이번 전대를 “거의 12개월을 비상대책위 체제로 운영한 것 같은데 비정상적 운영 속에 ‘이유미씨 사태’ 같은 불행이 잉태됐다”며 “시스템으로 당이 운영되지 못한 것이 결정적 위험 요소로 시스템의 첫걸음은 주인 찾아 주기”라고 규정했다.
이어 “당의 주인이 당원이라는 ‘당원 주권주의’ 조항을 당헌에 명시할 것”이라며 “당헌 1조 2항을 신설해 국민의당 당권은 당원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당원에게서 나온다고 하는 당원 주권 조항을 명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