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에 대해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은 18일 재판에 활용하려는 의도라며 강한 의구심을 보였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5년 마다 반복되고 있는 전(前) 정권 비리 캐기 수사는 이 정권에서도 예외가 아닌 듯하다"면서 "정치보복 쇼(show)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나 보다"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박근혜 정권의 국정농단을 빌미로 어부지리로 정권을 잡은 문재인 정권이 작성(자) 불명의 서류 뭉치를 들고 생방송 중계를 하며 국민 상대로 선전전을 벌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정우택 원내대표도 가세했다.
정 원내대표는 이날 SBS 라디오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여론몰이식 공세를 통해서 재판에 개입하려는 청와대의 불순한 의도라고 밖에 볼 수 없다"며 "청와대가 (관련 문건에 대해) 자의적으로 판단하고 생중계 요청까지 하면서 노골적으로 재판에 영향을 미치려고 한 유례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청와대의 이번 조치는 충분히 법률 위반 소지와 정치적 의도가 있다"며 "전임 청와대 관계자에게 문의하거나 대통령기록관리전문위원회와 사전협의를 거쳐 공개 여부를 판단했어야 했다"고 강조했다.
국민의당 이용호 정책위의장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청와대에서 발견된 모든 문서가 범죄조직 문서인 것처럼 연일 발표해 호들갑을 떨고, 방송사에 생중계를 유도하는 것은 지나친 처사"라며 “정부는 상황을 왜곡하지 말고 법에 따라 엄정히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의장은 "문재인 정부가 집권한 지 두 달이 넘어 이런 발표를 하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며 "발견된 문서 일부는 홍남기 국무조정실장이 '정무기획비서관 시절 중립적으로 회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도 이날 의원총회에서 “이 정부는 ‘청와대에 갔더니 서류 한 장이 없다’고 마치 (전 정부가)국정 자료를 파기한 것처럼 비판했다. 그러나 이제 와서는 남은 서류를 재판에 활용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며 “(문건을) 기록물 관리법의 취지에 맞게 처리할 지 고민않고 재판에 활용하는 듯한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정부가 서류를 남겨야 하나, 없애야 하나 등 이런 고민 끝에 나온 것이 기록물 관리법”이라며 “미비한 점이 많지만 이런 자료를 재판이나 정권에 이용하지 말고 장기적으로 기록물을 어떻게 관리할 지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