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두 차례 소집된 6월과 7월 임시국회에서 이들 제3지대 정당이 ‘캐스트보트’ 역할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23일 “거대 양당구도가 깨진 이번 국회는 원내교섭단체만 4개 정당에 이른다"며 “양당 구도에서 '와일드카드'처럼 통했던 막판 '빅딜' 대신 지난한 '협상' 과정이 필수 조건이 된, 말 그대로 '협치'의 시대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원내 1당과 2당이 ‘적대적 공생관계’를 유지하던 시절은 이제 옛말”이라며 "야당의 협조 없이는 어떤 법안도 통과시킬 수 없게 됐다"고 강조했다.
실제 여소야대 정국에서 120석의 의석으로 국정 초반 안정적인 정책 드라이브를 걸어야 하는 여당으로선 다수 야당과의 관계 설정이 그 무엇보다 절박해진 상황이다.
우원식 원내대표가 야당과의 협상 과정에서 "내가 을(乙) 중의 을(乙)"이라고 말한 것은 이 때문이다.
다당제로 운영되는 이번 국회에서 여와 야를 교묘히 오가며 정국의 흐름을 가르는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때문에 1야당인 자유한국당 입지가 대폭 줄었다는 지적이다.
이번 추경 본회의 처리 과정에서도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이 '3당 연합'을 형성, 한국당을 '왕따'로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지지기반이 취약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내년 지방선거 이후에도 존속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는 전망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관건은 지방선거"라며 "다른 선거와 달리 탄탄한 풀뿌리 조직이 위력을 발휘하는 ‘조직선거인 지방선거에서 지지기반이 열세인 ‘제3지대 정당’이 존재감을 드러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들 정당들이 어떤 식으로 거대 양당의 조직을 뛰어넘을 수 있을 지 구체적 계획이 보이지 않는다"며 "지방선거에서 결실을 맺지 못한다면 국회는 다시 거대 양당체제로 돌아갈 수 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