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로 정국이 어수선한 가운데 새정부 출범 100일도 안돼 여권 내부가 사드배치 문제로 균열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정부가 사드 추가 배치 당시 ‘임시배치’ 표현을 고집한 배경에도 민주당 내부 반발과 연관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전날 문재인 대통령이 사드 발사대 추가 배치를 지시한 데 대해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사드 배치의 불가피성에 공감한다"고 공식입장을 내놨지만 일부 의원들은 "대통령이 되면 이런 식으로 (사드 관련 입장을) 바꿔도 되느냐"며 크게 반발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대해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는 2일 “사드 배치에 대해서 당 의원들 사이에 찬반이 있는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날 오전 라디오 인터뷰에 나선 우 원내대표는 “이번 배치 협의는 확정 배치라기보다는 현장 위협에 대응하는 측면이 강하기에 임시 배치의 성격”이라고 선을 그으며 이 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사드 배치는 그간 정부가 얘기했던 대로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최종결정을 하게 될 것”이라며 “그 속에서 저로서는 사드 임시배치의 불가피성을 얘기하는 것이고 또 최종적인 배치 결정은 전략영향평가 이후에 정부가 얘기했던 대로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재선의 홍익표 의원은 언론과의 통화에서 "대통령이 대선 때 사드 배치는 국회 비준 동의 등 법적 절차를 밟아 결정할 것이라고 약속하지 않았느냐"며 "이런 식으로 정책을 바꾸는 건 문제가 있다"고 반발했다.
사드 배치 반대 목적으로 꾸려진 민주당 사드특별대책위원회 소속 김영호 의원은 "대통령의 사드 배치 결정에 깜짝 놀란 의원들이 많다. 상황이 바뀐 진짜 배경이 무엇인지에 대해 궁금해 하고 있다"며 "납득할 만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익명을 요구한 당 지도부의 다른 의원도 "아무리 대통령이라도 이런 식으로 오락가락하는 건 잘못"이라며 과거 노무현 정권 당시 이라크 파병 결정으로 지지층 이탈을 초래했던 사례를 들어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정부가 사드 추가 배치 당시 ‘임시배치’ 표현을 고집한 배경에도 민주당 내부 반발과 연관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전날 문재인 대통령이 사드 발사대 추가 배치를 지시한 데 대해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사드 배치의 불가피성에 공감한다"고 공식입장을 내놨지만 일부 의원들은 "대통령이 되면 이런 식으로 (사드 관련 입장을) 바꿔도 되느냐"며 크게 반발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대해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는 2일 “사드 배치에 대해서 당 의원들 사이에 찬반이 있는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날 오전 라디오 인터뷰에 나선 우 원내대표는 “이번 배치 협의는 확정 배치라기보다는 현장 위협에 대응하는 측면이 강하기에 임시 배치의 성격”이라고 선을 그으며 이 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사드 배치는 그간 정부가 얘기했던 대로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최종결정을 하게 될 것”이라며 “그 속에서 저로서는 사드 임시배치의 불가피성을 얘기하는 것이고 또 최종적인 배치 결정은 전략영향평가 이후에 정부가 얘기했던 대로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재선의 홍익표 의원은 언론과의 통화에서 "대통령이 대선 때 사드 배치는 국회 비준 동의 등 법적 절차를 밟아 결정할 것이라고 약속하지 않았느냐"며 "이런 식으로 정책을 바꾸는 건 문제가 있다"고 반발했다.
사드 배치 반대 목적으로 꾸려진 민주당 사드특별대책위원회 소속 김영호 의원은 "대통령의 사드 배치 결정에 깜짝 놀란 의원들이 많다. 상황이 바뀐 진짜 배경이 무엇인지에 대해 궁금해 하고 있다"며 "납득할 만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익명을 요구한 당 지도부의 다른 의원도 "아무리 대통령이라도 이런 식으로 오락가락하는 건 잘못"이라며 과거 노무현 정권 당시 이라크 파병 결정으로 지지층 이탈을 초래했던 사례를 들어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