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우택 한국당 원내대표는 국정상설협의체 구성이 시급하다는 문재인 대통령 발언을 겨냥, "작금의 안보와 정국 난맥상 책임을 야당에 전가하고 흐려보려는 정략적 의도"라고 직격했다.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한 정 원내대표는 "청와대가 안보 무능력과 안보 파탄에 국민의 실망과 지탄이 높아지고 국정 난맥상이 드러나자 느닷없이 여야정이 함께 대처하자고 주장하고 나섰다"며 이같이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여야정 협의체 구성에 우리 당도 적극적이었다. 안보 문제는 진작부터 초당적 대처 노력을 적극적으로 주문했다"며 "그런데 야당 목소리에 한번도 귀기울이지 않던 청와대가 교섭단체 중심으로 운영되는 국회 관례를 깨고 여야정 협의체에 비교섭단체 정당까지 넣어야 한다고 우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국민의당의 제안에 대해 긍정적으로 답한 것”이라면서 "대통령이 제안한 여야정 협의체도 국회 운영의 틀과 관례에 맞춘다면 당연히 응할 것"이라고 반겼다.
특히 한국당의 국회 보이콧 상황과 관련해서도 정부 여당에 힘을 싣는 모습을 보였다.
앞서 한국당 정 원내대표는 "정기국회마저 보이콧하며 전면적 대여 투쟁하는 이유는 문재인 정부의 독선과 독주, 오만과 무능에 대한 근본적 반성을 촉구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이 실상을 직접 호소하고 알리기 위해 자유민주주의 수호 차원에서 이 같은 투쟁을 벌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기본적 자세와 인식이 바뀌지 않는 한 아무리 말로만 안보를 외친들 안보 파탄에 대한 국민 불안이 사라지겠으며 공영방송까지 장악하려는 이율배반적 국정운영에 신뢰가 생기겠느냐"고 비판한 바 있다.
그러나 국민의당 김 원내대표는 "한국당은 김장겸 MBC 사장의 체포영장 청구를 문재인 정부의 방송 장악이라고 하지만, 이는 노동청 조사를 수차례 거부한 데 따른 법 집행"이라며 "자유한국당은 명분 없는 국회 보이콧을 즉각 중단하라"고 정부여당을 거들었다.
특히 "한국당이 여당이던 박근혜 정부 당시 김 사장을 임명한 것은 방송 장악의 일환이 아니었냐"며 "여기에 대한 사과와 반성부터 있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다만 그는 "북핵 등 안보위기가 정점으로 치달은 상황에서, 방송의 날 당일에 체포 영장 집행을 시도한 정부의 미숙한 처리 과정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