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7급 공무원 자살은 제 책임”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7-10-17 13:10:55
    • 카카오톡 보내기
    조직문화 개선 약속...불신 해소는 미지수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이 17일 높은 업무 강도로 힘들어 하던 7급 직원 김 모씨의 자살에 대해 결국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고 조직문화 개선을 약속했으나 이미 만연해진 공무원 사회 불신을 잠재울 수 있을 지는 미지수라는 지적이다.
    박 시장은 이날 국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백재현 의원의 질문에 대한 답변과정에서 "전적으로 제 책임이고 무한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완벽한 대안을 만들 생각"이라며 “지금까지 해왔던 대책보다 훨씬 강력하고 본질적 대책을 만들겠다”고 고개를 숙였다.
    실제 서울시 공무원들 사이에선 박 시장의 조직문화에 대한 각종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지난달 서울시 예산담당과 김모 주무관 투신사건 후 예산과를 총괄하는 기획조정실장이 사의를 표명하는가하면 예산담당관까지 교체된 것으로 알려지는 등 뒤숭숭한 분위기가 이어지는 양상이다.
    실제 장혁재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어떤 형태로든 책임을 지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며 지난 10일 사의를 표명했고, 이에 박 시장은 장혁재 실장의 사표를 반려하고 설득에 나서섰지만 장 실장은 11일 예정돼 있던 김종욱 정무부시장과의 면담도 취소하고 20일까지 연가를 낸 상태다.
    박원순 시장 취임 후 서울시에서는 총 '7명'의 공무원 자살 사고가 발생했다. 재임 기간 이후인 2012년부터 올해까지 1년에 1명 꼴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휴일없는 고강도 업무 강행이 주 요인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특히 이번 공무원 자살 사건을 계기로 박원순 시장의 불합리한 시정 인사배치가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박 시장이 기용한 시민단체 출신 인사들에 대한 불만이 봇물을 이루는 양상이다.
    공무원 조직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시민단체 출신 인사들이 조직성향에 대한 고려 없이 시정을 쥐락펴락하며 막무가내 식으로 추진하는 상황을 박 시장이 방치하고 있는데 따른 불만이 임계점에 이른 것이다.
    실제로 박원순 시장은 재임 7년 기간 동안 자신의 측근 인사들을 무더기로 서울시 별정직 공무원 자리에 앉힌 것으로 드러나 논란을 빚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박성중 자유한국당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서울시 별정직 채용현황' 자료에 따르면, 박원순 시장은 2011년 10월부터 올해 9월까지 총 104명의 별정직 공무원을 채용했다.
    이 중 대다수는 희망제작소, 민노총, 아름다운재단 등 '친(親)박원순' 성향의 시민단체 출신으로 확인됐다.
    서울시 공무원들의 초과근로 문제도 심각한 상황이다. 실제로 서울시청 소속 공무원의 1인당 월 평균 초과근무 시간이 40시간이 넘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유재중 의원(자유한국당)은 서울시가 지난 3월 본청 및 사업소 직원 2217명을 상대로 초과근무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입수해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조사 참여자의 89%가 ‘우리 시의 초과근무 관행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초과근무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컸다. 20∼30대 직원은 94%, 40대는 91%, 50대는 84%가 각각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 조사에서 서울시청 소속 공무원 1인당 월 평균 초과근무 시간은 지난해 40.9시간으로 집계됐다. 지난해부터 초과근무 총량제를 시행중인 42개 중앙부처 공무원 평균(22.1시간)보단 무려 1.8배 이상 많았다. 특히 본청 5급 팀장급의 1인당 평균 초과근무 시간이 월 42.2시간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 달 자살한 김씨의 경우 숨지기 전인 8월 한 달간 170시간 초과 근무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