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작심발언', 정치권 강타...옥중정치 신호탄 되나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7-10-17 15:10:15
    • 카카오톡 보내기
    통합명분 희석될라...홍, "출당 추진하겠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박근혜 전 대통령이 '작심발언'을 통해 시사한 재판 보이콧이 향후 옥중정치로 이어질 가능성에 정치권 관심이 쏠리는 모양새다. 특히 박 전 대통령에 대한 당적 정리와 관련, 본인 선택에 맡겨야 하고 1심 선고까지는 결정을 보류해야 한다는 당내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지울 것은 지우고 새롭게 나아가야 한다”며 “안타깝지만 우리는 먼 길을 가야할 입장”이라고 밝혀 사실상 박근혜 전 대통령의 출당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전날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는 자신에 대한 재판을 '법치의 이름을 빌린 정치 보복'이라고 규정한 박 전 대통령 법정 발언에 대해 "이번 재판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고 메시지를 낸 것으로 본다"면서도 "당적 정리 문제는 정치 보복을 당하는 것과는 별개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박 전 대통령 출당은 탄핵 사태를 초래해 보수 진영을 궤멸에 이르게 한 데 대한 정치적 책임을 묻는 차원"이라며 "박 전 대통령 스스로 당적을 정리해주는 게 가장 좋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에서 변호인을 접촉해 탈당 의사가 확인되면 바로 당적을 정리할 것"이라면서도 "본인 의사 확인이 여의치 않다면, 금주 중 출당 절차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류여해 최고위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부당한 구속기간 연장으로 변호인단까지 사퇴한 지금 당의 출당결정이 적절한지 의문"이라며 "지난 윤리위 결정을 존중하고 당헌당규에 따라 적어도 1심 판결시까지는 출당 문제를 유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문제에 대해 지난달 홍준표 대표께서 공론의 장에 붙여 의견을 널리 구하겠다 하셨지만 당차원에서 진정성있는 의견수렴 과정도 없었다"고 반발했다.

    정우택 원내대표도 전날 박근혜 전 대통령 등에 대한 출당 시기를 묻는 언론 질문에 "지금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여론의 동향이나 당내 여러 가지 상황과 분위기 등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며 "많은 우리 당원들은 박 전 대통령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다"고 홍 대표와 엇갈린 견해를 피력했다.

    박대출 의원도 "(출당 조치는) 자유한국당이 굴복하는 모습"이라며 "박 전 대통령 당적 문제는 본인에게 맡겨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정치적 책임을 물어 당적을 강제 정리하는 것은 "집안 살리겠다고 늙고 병든 가족을 내다버리는 현대판 고려장과 무엇이 다르냐"며 "밖에선 보복, 안에선 배신' 이런 저주의 시대로 가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결자해지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게 한 솥밥 먹던 가족의 도리"라며 "당적 정리를 본인에게 맡길 것을 간절히 부탁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이에 따라 박 전 대통령 거취문제가 홍 대표 계획대로 실행될 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박 전 대통령이 전날 법정 메시지를 시작으로 '옥중 정치'를 시작할 경우, 바른정당과의 통합 명분이 희석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대통령 탄핵' 책임을 두고 자칫 계파 간 갈등이 재점화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다.

    무엇보다 탄핵 초래 책임을 박근혜 전 대통령 등에게 돌리는 바른정당 통합파 주장을 수용하면서 운신의 폭을 늘려가는 홍대표계획이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한국당과의 통합을 주도하고 있는 김무성 바른정당 고문은 “우리가 옛 새누리당을 탈당한 것은 당이 박근혜 전 대통령의 사당이 돼 탄핵 사태를 초래했기 때문"이라며 “한국당이 박 전 대통령에 대한 당적을 정리하는 정도에서 통합할 수 있다"고 밝혀 탄핵 책임을 박근혜 전 대표에 돌린 바 있다.

    그러나 한국당 역시 바른정당 인사들에 대해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카드에 현혹돼 자당 출신 대통령 탄핵에 적극 가담한 배신자'라는 시각이 여전한 상태여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이재만 한국당 최고위원의 경우, 지난 달 31일 당 최고위원 회의에서 "보수 위기에서 제일 먼저 피난 기차를 타고 도망갔던 배신자들, 기회주의자들과의 통합은 있을 수도, 있어서도 안 되는 일"이라며 바른정당 통합파와의 논의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이 최고위원은 특히 "가출했던 탕아가 배고프고 추우니까 어떻게든 다시 들어와 보겠다고 기웃거리는 치졸함과 비굴함은 분노할 가치도 없다"며 "그들이 제일 먼저 제출해야 할 것은 통렬한 자기반성문"이라며 탄핵 책임이 바른정당 측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한편 바른정당 통합파 기세가 위축되는 가운데 주호영 대표 권한대행이 17일 내달 8일부터 전당대회 당일인 13일 사이를 탈당일로 지목해 관심을 끌고 있다.

    주 대행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에서 "(통합파들이) 국정감사 기간 중엔 탈당하지 않겠다고 했다"면서 "탈당을 염두에 둔 분들은 국감 전에는 탈당을 하지 않되 전당대회 전 탈당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자유한국당과의 통합을 위해 양당 3선의원들이 구성한 '보수대통합추진위원회' (통추위)에 대해선 "현재 최고위원회의 의견과 태도로 봐서는 통추위 지명(의결)은 거부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다만 주 대행은 "당내 의견을 듣고 한국당이 변화하는 상황을 보면서 이 정도면 (통합과 자강파가) 어느 정도 (함께) 논의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면 그런 논의는 받을 수 있다"며 “각자의 의견을 개진하면 언론에서 말하는 것만큼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여지를 남겼다.

    당초 김무성 의원을 중심으로 9~10명 정도로 추산됐던 통합세력은 현재 5명(김무성·김영우·김용태·정양석·황영철) 정도로 축소된 상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