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추경호, "분석 결과 30명 중 23명 캠코더 인사"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문재인정부의 ‘캠코더(캠프 출신·코드인사·더불어민주당) 인사’가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는 지적이다.
김동철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12일 "문재인정부 인사는 과거 정부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며 "캠코더 인사를 밀어붙이는 것은 적폐청산을 외친 국민에 대한 배신이자 새로운 적폐의 시작"이라고 포문을 열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원내대책회의에서 "이것이 대통령 스스로 기회 있을 때마다 강조한 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 정의로운 결과인가"라며 "문재인 정부의 노골적인 낙하산 인사를 보면서 우려를 금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원내대표는 "문 대통령과 민주당은 과거 공공기관장 낙하산 인사에 대해 누구보다 강하게 비판하고 재발방지를 약속했다"며 "2015년 대우조선해양 부실이 이명박 정부의 낙하산 인사 결과 때문이라고 비판했고 지난 4월 대선후보 때에는 전국공공산업노조연맹과 낙하산 방지 정책협약까지 체결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7월 여야 4당 대표의 청와대 회동에선 무자격자, 부적격자의 낙하산이나 보은인사를 하지 않겠다고 약속해달라는 야당 요구에 대통령이 직접 그런 일 없도록 하겠다고 약속하지 않았나. 그러나 국민 기대가 여지없이 무너졌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지난달 국민연금공단이사장, 한국인터넷진흥원장, 국제협력단이사장 등에 대해 낙하산 인사를 단행하더니 앞으로도 한국마사회장, 국립중앙의료원장, 한국폴리텍대학 이사장,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 등이 예외없이 캠코더 인사로 채워진다 한다"며 "문재인 정부의 낙하산은 착한 낙하산"이나고 질타했다.
실제 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실이 전체 공공기관 330곳을 전수조사한 결과 현재 공공기관 60곳이 기관장 공석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연말에 임기가 끝나는 곳까지 합치면 전체 3분의 1 가까이 자리가 비는 셈인데, 문재인 정부에서도 '낙하산 인사' 논란이 반복되는 상황이다.
평균 기관장 공석 일수는 123일이고, 406일째 자리를 비운 곳도 있다. 정부는 첫 내각 구성이 늦어진데다 이른바 '7대 인사 배제 원칙'을 공공기관장에도 적용하면서 인사가 지연됐다고 설명하지만 현 정권 출범 세력의 소위 '논공행상' 때문이란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캠코더' 낙하산 논란에 야권의 비판도 커지고 있다.
추경호 의원실 분석에 따르면 현 정부 들어 임명된 30명의 공공기관장 가운데 이미 23명이 캠코더(문재인 대선 캠프, 코드 맞는 인사, 더불어민주당 출신 인사들을 지칭) 인사로 9명이 캠프 출신, 14명이 코드 인사로 의심을 받고 있다.
특히 임명 과정에서 논란이 컸던 김성주(민주당 호남특보 출신)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이강래(민주당 원내대표 출신) 한국도로공사 사장 등이 대표적 사례라는 지적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