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민일보=이영란 기자]검찰이 이명박(MB)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 의혹과 관련해 이상득 전 의원 사무실을 압수수색 하는 등 이명박(MB) 전 대통령을 향한 압박의 강도를 더해가는 모양새다.
이와 관련 MB시절 국가정보원의 특활비의 청와대 상납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송경호)는 지난 2011년 민간인 사찰 의혹 사건 무마를 위해 장진수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에게 국정원 자금을 전달한 혐의로 피의자 소환한 정석명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을 16시간 조사끝에 23일 새벽 귀가조치 했다.
장 전 비서관의 상관은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었던 권재진 전 법무부 장관이다.
또 앞서 전날에는 이 전 대통령 친형 이상득 전 의원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지난 12일엔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 김진모 전 민정2비서관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한 지 닷새 만에 이들 두 사람을 구속했다.
이들과 함께 소환됐다 구속을 면한 김희중 전 실장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오랜 가신이었으나 청와대로 전달된 국정원 특활비 용처 수사에 협조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MB 친형으로 정권의 실세였던 이 전의원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이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다.
이 전 의원의 사무실 압수수색과 관련해서는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국정원장 연임을 위해 이 전 의원에게 돈을 갖다주고 청탁했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MB는 압수수색 소식이 전해진 직후 측근 약 20명과 함께 강남구 삼성동 사무실에서 향후 대응 기조를 논의했으며, 이 자리에서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고 반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대통령은 "그 무렵 원 전 원장은 몇 차례 내게 원장직을 그만두고 싶다고 절실하게 이야기했는데 남북관계 등 여러 상황을 이유로 내가 '힘들어도 끝까지 마쳐달라'고 설득해 재임한 것"이라고 당시의 상황을 참모들에게 자세히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대통령과 참모들은 전날 회의에서 "잘못된 얘기가 검찰로부터 흘러나오거나 밖에서 폭로 형태로 나오는 것은 국민을 호도하고 민심을 왜곡하는 것인 만큼 실무적 차원에서 당연히 대처해야 한다"는 쪽으로 대응 기조를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