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제 양당은 통합 전날 바른미래당의 정강정책(강령)을 놓고 예상치 못한 암초에 부딪쳤다.
그동안 정강·정책 회의를 주관해왔던 지상욱 바른정당 정책위의장이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의당과 사실상 합의가 중단됐다”며 “이런 식으로 가면 (통합이)결렬될지 모르겠다”고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지 의원은 “지난달 18일 안철수·유승민 대표는 건전한 개혁보수와 합리적 중도를 합쳐 정치혁신을 바라는 국민들의 열망에 부흥하겠다는 (취지의)정당 가치를 발표했다”면서 “그러나 (국민의당의 반대로)양당의 가치를 실현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 지금까지 (합의가)안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양당 대표가 정책 방향을 합의한 지 얼마 안 됐는데 이것이 바뀔 경우 당원들은 어떻게 믿고 통합 작업을 진행하느냐는 것이다”고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유승민 대표도 같은 날 언론 인터뷰에서 "안철수 대표와 제가 지난 1월18일 정성들여서 공동선언을 했고 이건 '당신과 내가 합의한 거다', 약속을 했고 이보다 중요한 게 어디 있겠느냐"며 "(공동선언문을) 번갈아 읽으면서 국민 앞에 약속한 것인데 이걸 안 지키면 앞으로 우리가 어떻게 국민들에게 지지해달라고 하겠느냐"며 "정치인이 말을 뱉으면 그 말을 지켜야 할 것 아니냐"고 가세했다.
양측의 줄다리기는 결국 안철수 대표가 “서로 합의가 되는 공통분모들만 모아서 발표하면 될 일”이라며 신당의 정강에 정치 이념 표현을 배제하기로 봉합하면서 실마리를 풀게 됐다.
통합추진위원회 관계자는 “국민의당은 ‘합리적 진보’를, 바른정당은 ‘개혁적 보수’를 넣어야 한다고 서로 주장했지만 결국 진보와 보수라는 표현을 다 빼는 방향으로 잠정 합의됐다”며 “진보, 중도, 보수라는 표현은 빼고 탈이념, 탈지역, 탈계층, 탈과거를 통해 미래 정당으로 간다는 정신을 정강에 포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통합 이후에도 노선갈등이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다.
김만흠 한국정치아카데미 원장은 “유승민 대표가 보수의 가치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바른미래당은 보수에 중점을 두고, 중도로의 외연 확장을 시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바른미래당은 국민의당 소속 의원 21명과 바른정당 소속 의원 9명이 합류해 30석을 차지하는 원내 제3정당으로 이날 출범한다. 국민의당은 2016년 2월 2일 창당한 지 742일 만에, 바른정당은 지난해 1월 24일 창당한 지 385일 만에 문을 닫게 됐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