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앞서 민평당으로부터 교섭단체 공동 구성 제안을 정의당은 11일 긴급 의원총회를 열고 끝장토론을 통해 가닥을 잡고 17일 전국위원회를 통해 민평당과 공동 교섭단체 구성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는 로드맵을 내놨다.
이에 따라 소속 의원 6명은 이날 오후 여의도 한 식당에 모여 민평당 제안과 관련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정의당 관계자는 “시간을 정해두지 않고 '끝장토론'을 통해 결론을 도출한다는 방침"이라며 "어떤 식으로든 마무리를 짓게 되지 않겠느냐"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 7일 광역시도당 위원장 연석회의에서 공동교섭단체 구성에 대한 당원들의 팽팽한 찬반 여론이 확인된 후 당내 분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부결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전남 등 일부 지역의 반발이나 민주노총 등 노동계의 반대는 지방선거를 앞둔 민감한 시기에 당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는 관측이다.
이와 함께 당 디지털소통위원회가 지난 9일부터 당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해 민평당과의 공동교섭단체 구성에 대한 의견을 묻고 있어 그 결과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14석의 민평당과 6석의 정의당 간 교섭단체 공동 구성이 성사될 경우, 얻게 될 혜택이 적지 않다.
우선 임시국회, 정기국회가 열릴 때마다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모든 위원회에 간사 1인씩 파견할 수 있게 되면서 각 상임위 쟁점 법안 논의나 의사일정을 조정 과정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상임위원장도 노릴 수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