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결선투표가 도입되면 22일 현재 박원순 서울시장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경선구도에 변수가 생길 수 있다는 전망 때문이다.
앞서 경선주자로 나선 우상호 의원과 박영선 의원은 최근 당 공천관리위원회(공관위)에 결선투표 도입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그동안 현역의원 출마를 만류해왔던 민주당 지도부는 이번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현역에 대해 10% 감점하는 페널티 규정을 경선룰에 포함시킨 바 있다.
우상호 의원 측 관계자는 이날 “현역의원 10% 감점 페널티 규정이 있는 상황에서 결선투표를 하지 않는 건 사실상 박원순 현 시장을 전략공천 하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박 시장 측 관계자는 "우리가 유리한 입장이라 따지기는 어렵다. 당에서 합리적으로 판단하면 따를 것"이라면서도 “특정 후보의 유불리를 고려해서 특정지역에서만 결선투표를 도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부정적 견해를 보였다.
결선투표 도입이 무산될 경우, 당심에 있어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우 의원과 박 의원 간 경쟁으로 인한 표심 분산은 고스란히 박시장 수혜로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현역 의원들에게 주어진 페널티까지 염두에 둔다면 사실상 박 시장을 위한 경선이 될 것이란 지적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는 원칙적으로 결선투표를 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세운 바 있어 추후 입장 변화 여부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이와 관련, 이춘석 민주당 사무총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명시적으로 결선투표를 운영하지 않겠지만, 결선투표가 바람직하다고 하면 공천심사를 통해 경선 후보자를 2~3인으로 좁혀 실질적으로 결선투표 효과를 내는 방안을 선택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현재 서울시장 경선에 나선 주자는 박원순 현 서울시장과 우상호, 박영선 의원 등 3명 뿐이어서 결선투표 대체 방안 모색이 수월하지 않을 거라는 지적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