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2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효율적이고 안전한 원전을 중단하고 사우디아라비아에 수출하는 걸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느냐"며 "문재인 대통령은 탈원전 정책을 깊이 반성하고 에너지 수급정책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여름철 최대 전력 수요가 늘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며 "그런데 정부는 (전력) 공급을 늘리는 게 아니라 수요를 줄이는 것으로 전력수급 관리에 나서려고 한다. 저소득층의 에너지 소외, 격차를 고려하면 탈원전정책이 올바른 방향인지 숙고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특히 "이 정권 특정인사가 태양광 사업 등 문재인 정권의 탈원전 정책에서 핵심적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는 정보를 접하고 있다"며 "호수, 저수지에 태양광 패널이 웬 말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바른미래당도 탈원전을 포함한 국가 에너지 정책의 재검토를 촉구했다.
김동철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제14차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전력수요가 전국 예상치를 넘어서자 문재인 정부는 탈원전하겠다고 한 원전 2기의 재가동을 지시했다”면서 “정부는 탈원전 정책을 수정하겠다는 건지 임시로 재가동하겠다는 건지 명확한 입장을 밝혀야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원전 확대와 유지를 합친 의견이 54%인 반면 축소 의견은 32%에 불과했다”면서 “원전은 반도제·철강·화학·디스플레이 등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산업의 기반이자 신성장동력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는 임기 5년짜리다. 5년 임기 정부가 ‘백년대계’ 에너지정책의 대못을 박으면 안 된다”고 쏘아붙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