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여영준 기자] 추석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노인학대 사건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친족 간의 학대가 노인학대의 대부분을 차지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민주평화당 김광수 의원은 19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노인학대 건수 및 피학대자와의 관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의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노인학대 발생건수는 총 1만3962건이었으며, 이 중 친족에 의한 학대가 1만373건으로 74%에 달해 4명 중 3명이 친족에 의해 학대를 받았다.
최근 3년간 연도별 노인학대 발생 건수를 살펴보면 ▲2015년 3818건 ▲2016년 4280건 ▲2017년 4622건으로 나타나 최근 3년간 20%가 넘게 증가했다.
노인학대 가해자는 아들이 37%, 배우자가 20%, 딸이 10%를 차지해 10명 중 7명은 직계가족이 학대를 한 것으로 나타났고, 친족에 의한 노인학대 건수도 ▲2015년 2940건(69.60%) ▲2016년 3502건(75.52%) ▲2017년 3931건(77.06%)으로 학대 발생건수와 친족의 의한 학대 비율이 매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학대발생 장소를 살펴보면 총 1만2720건 중 가정내에서 발생한 건수는 1만1204건으로 무려 88%에 달했다.
이어 노인생활·이용시설 860건(7%), 공공장소 232건(2%), 병원139건(1%)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평온해야 할 가정에서 가장 많은 학대가 자행되고 있는 것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1756건 ▲서울 1338건 ▲인천 1074건 ▲부산 1053건 ▲경북 998건 ▲전남 904건 ▲강원 819건 ▲경남 766건 ▲광주 718건 ▲전북 668건 ▲충남 656건 ▲대구 542건 ▲충북 526건 ▲대전 327건 ▲울산 315건 ▲제주 251건 순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그간 아동학대 사건이 국민적 분노를 일으켜 대책 마련에 분주했지만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한 노인학대는 무관심 속에 사실상 방치되어 있었다”며 “특히 노인학대는 가족 간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기고 가정파탄에 이르게 해 결국 국가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노인학대를 더 이상 가족의 문제로만 치부할 것이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의 인식전환과 함께 당국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며 “이번 국정감사에서 정부당국의 노인관련 정책을 꼼꼼히 들여다봐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있는 노인학대 관련 대책 마련에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민주평화당 김광수 의원은 19일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노인학대 건수 및 피학대자와의 관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의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노인학대 발생건수는 총 1만3962건이었으며, 이 중 친족에 의한 학대가 1만373건으로 74%에 달해 4명 중 3명이 친족에 의해 학대를 받았다.
최근 3년간 연도별 노인학대 발생 건수를 살펴보면 ▲2015년 3818건 ▲2016년 4280건 ▲2017년 4622건으로 나타나 최근 3년간 20%가 넘게 증가했다.
노인학대 가해자는 아들이 37%, 배우자가 20%, 딸이 10%를 차지해 10명 중 7명은 직계가족이 학대를 한 것으로 나타났고, 친족에 의한 노인학대 건수도 ▲2015년 2940건(69.60%) ▲2016년 3502건(75.52%) ▲2017년 3931건(77.06%)으로 학대 발생건수와 친족의 의한 학대 비율이 매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학대발생 장소를 살펴보면 총 1만2720건 중 가정내에서 발생한 건수는 1만1204건으로 무려 88%에 달했다.
이어 노인생활·이용시설 860건(7%), 공공장소 232건(2%), 병원139건(1%)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평온해야 할 가정에서 가장 많은 학대가 자행되고 있는 것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1756건 ▲서울 1338건 ▲인천 1074건 ▲부산 1053건 ▲경북 998건 ▲전남 904건 ▲강원 819건 ▲경남 766건 ▲광주 718건 ▲전북 668건 ▲충남 656건 ▲대구 542건 ▲충북 526건 ▲대전 327건 ▲울산 315건 ▲제주 251건 순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그간 아동학대 사건이 국민적 분노를 일으켜 대책 마련에 분주했지만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한 노인학대는 무관심 속에 사실상 방치되어 있었다”며 “특히 노인학대는 가족 간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기고 가정파탄에 이르게 해 결국 국가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노인학대를 더 이상 가족의 문제로만 치부할 것이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의 인식전환과 함께 당국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며 “이번 국정감사에서 정부당국의 노인관련 정책을 꼼꼼히 들여다봐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있는 노인학대 관련 대책 마련에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