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용재 해남소방서 예방안전과 소방사 |
겨울철은 기온이 낮아 난방기구 사용량이 급증하며, 습도가 낮고 대기가 건조하기 때문에 화재위험과 피해 규모가 크게 증가한다.
특히 가장 많이 사용하는 화목보일러, 전기열선, 전기히터·장판을 일컬어‘3대 겨울용품’이라고 한다. 이 용품들은 위험성 때문에 사용 시 안전수칙을 꼭 지켜야한다. 이에 3대 겨울용품을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첫째, 화목보일러는 불연재로 구획된 별도의 공간에 설치하고 연통 주변 벽과 천장사이를 규정에 따라 일정한 거리를 둬야 한다. 보일러 주변에는 장작 등 가연성물질을 방지하지 말아야하며 반드시 화목보일러 옆에 소화기를 비치해야한다.
둘째, 열선 설치 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문어발식 멀티콘센트 사용을 자제한다. 전열기구들은 소비전력이 크기 때문에 멀티콘센트에 문어발식으로 연결해 사용하면 과부하로 인한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반드시 부하에 맞게 전열 기구를 사용하고 가급적이면 단독 콘센트나 전류 차단 기능이 있는 것을 이용하는게 좋다.
셋째, 전기장판은 돌돌 말아서 보관한다. 부피가 큰 전기장판은 일반 가정에서 접어 보관하거나 접어둔 전기장판 위에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올려두기도 한다. 이는 전기장판 내 열선이 끊어져 고장ㆍ화재의 주요 원인이 된다. 또 라텍스 소재의 이불보다 얇은 이불과 같이 사용하는 게 안전하다.
겨울철 가정에서 사용하는 난방용품은 우리 삶에 큰 도움을 주지만 잠깐의 부주의로 우리 가족의 생명·재산을 앗아가는 무서운 화마로 돌변하기도 한다. 아무리 많은 안전수칙을 알고 있다 하더라도 실천하지 않으면 언제든 화재로 인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나의 무관심과 부주의로 인한 화재는 나뿐만 아니라 타인의 행복까지 빼앗아 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길 바란다. 생활 속의 화재안전수칙을 준수해 올 겨울 국민모두가 화재로부터 안전하고 따뜻하며 행복한 겨울이 되길 기대한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