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더불어민주당과 열린민주당은 오는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할 단일후보를 선출하기 위해 16~17일 이틀간 양당 권리·의결당원(50%)과 서울시민(50%) 여론조사를 하고, 결과는 17일 오후 6시에 발표 예정이다.
전날 열린 2차 단일화 토론에서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 사태 해법이 쟁점이 됐다.
박영선 민주당 후보는 “서울시 직속 부동산감독청을 설치하겠다”고 공약하면서 “투기와의 전쟁을 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8월 문재인 대통령이 부동산 위법행위에 대한 감독기구 필요성을 강조했는데, 복기해보면 처음 주장했을 때 잘 진행됐으면 LH 사태를 막을 수 있지 않았을까”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진애 열린우리당 후보는 “LH 사태는 2∼3년 전 일을 이번에 알게 된 것”이라며 “서울시 부동산감독청 설치는 전 국민을 잠재적 범죄자로 만드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감독기구는 정치인과 공직자를 대상으로 한 게 아니라 자칫 잘못하면 경제순환을 막을 수 있다”라며 “오히려 주택청을 설립해서 주거 복지, 임대주택 관리, 주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더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박 후보는 “그럼 금융감독원은 자본시장에 투자하는 모든 사람을 범죄시하는 것이냐”며 “지금은 돈이 돈을 버는, 양극화를 재촉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지금은 부동산 감독청이 필요하다”라고 재차 반박했다.
박영선 후보가 최초로 주장한 LH 특검 도입을 두고도 두 후보는 신경전을 벌였다.
박 후보는 “이것을 검찰로 넘기는 것은 불가능하다”라며 “(김 후보가) 특검을 반대하는 이유가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의 생각과 비슷한 것이 의아하다”라고 꼬집었다.
그러자 김 후보는 “특검이 제대로 된 적이 없고 소나기만 피하는 격이라 그런 건 안 된다”고 맞받았다.
박 후보의 민주당 원내대표 재임 시절 세월호 특별법 대응도 쟁점이 됐다.
김 후보는 “세월호 유가족의 마음을 도외시한 특별법을 박 후보가 합의하면서 유가족들은 ‘박 후보를 고소하려고까지 했다. 정치 생명이 끝났어야 하는 사람이 이 자리에 이렇게 와 있는 것이 이해가 안 된다’고 이야기했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발끈한 박 후보는 “김 후보가 이렇게 발언한 데 대해 세월호 유가족이 마음 아프게 생각할 것이고, 유가족의 말을 이렇게 전달하는 것은 예의에 어긋난다”라며 “제가 직접 연락해보겠다”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