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조직적 은폐 의혹 제기··· "서울시, 규명·책임 물어야"

    사건/사고 / 전용혁 기자 / 2020-07-14 15:47:14
    • 카카오톡 보내기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의혹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의 ‘조직적 은폐’ 가능성에 대한 철저한 조사 요구 목소리가 나오는 상황이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지난 13일 오후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여러 사람들에 의해 은폐되거나 조직적으로 사건화를 하지 않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면 지금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서울시의 행정라인에 (피해자가)문제제기를 했는데 어떻게 보면 4년이라는 기간은 굉장히 긴 기간이고, 어떤 경위로 어떻게 문제제기를 했는데 그게 왜 제대로 처리가 되지 않았는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금처럼 노동자들의 권리를 보장하는 절차는 다 마련을 한 거나 진배가 없는데, 그 절차가 가동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 여전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기관에는 내부적으로 성폭력 사건이 발생하면 조사를 하고 징계를 줄 수 있는 절차가 있다. 서울시에만 있는 게 아니라 웬만한 교육기관이나 공기관에 다 있다”며 “경찰에서 사법처리를 하는 것과 달리 내부에서 문제가 제기되면 즉시 조사를 하고 조사 결과에 따라 징계위원회도 열려야 하고, 징계를 받을 사람은 피해자와 접촉할 수 없게 하는 절차가 있는데 그게 왜 작동이 안 됐는지 그 부분이 도저히 이해가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당사자의 공소권 없음과는 다른 문제이기 때문에 그 조직에 책임을 물을 수 있는 부분이 틀림없이 있을 것”이라며 “극단적인 경우 손해 민사소송을 진행하더라도 이건 또 비슷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또 다른 피해자를 양산할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번에 내부적 감찰절차 등 무슨 절차든 그게 제대로 작동되게 만들어놔야 한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