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활동 업무 확대키로
재범우려자 주변 집중 배치
[시민일보 = 문민호 기자] 일선에서 실효성 논란이 이어져 온 경찰 기동순찰대가 앞으로는 스토킹 등 관계성 범죄를 중심으로 예방 활동 범위를 확대한다.
24일 경찰청은 "기동순찰대 업무가 일반적 예방 활동에서 나아가 고위험 재범 우려자 주변에 집중적으로 배치하는 '특별예방활동'으로 확대된다"고 밝혔다.
특히 스토킹·교제폭력 등 관계성 범죄 가해자와 전자장치 부착자 등에 대한 순찰과 검문을 강화해 범죄 발생을 예방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긴급 112신고 등 중요 상황이 발생하면 기동순찰대가 선제 처리하고, 경찰서ㆍ지구대ㆍ파출소 등과 공조도 강화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관리ㆍ평가 체계 전반도 개선한다.
현재 기동순찰대는 전국 28개 부대, 총 2668명의 경찰관으로 구성됐다.
기동순찰대는 2023년 8월 연이어 발생한 이상 동기 범죄(이른바 '묻지마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당시 경찰청 차장이던 조지호 현 경찰청장이 주도로 지난해 2월 공식 출범했다.
하지만 이후 1년 6개월간 기동순찰대의 실효성을 두고 일선 현장에서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현장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거리 순찰 등 효과가 불분명한 업무에 인력을 집중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것이 주된 지적이었다.
이에 대해 경찰청은 "기동순찰대는 지역사회 곳곳을 도보로 순찰하면서 주민 일상생활 속 은밀하게 숨어있는 범죄 수배자와 형사사범을 검거해왔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기동순찰대는 하루 평균 68건씩 총 3만5210건의 범죄 취약 요소를 점검했으며, 이를 통해 112 신고가 접수되기 전 선제적 조치를 취한 사례들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출범 이후 전체 112 신고 건수도 감소했다.
2022년 3월부터 2023년 7월까지 2975만건에 달했던 신고 건수는, 2024년 3월부터 2025년 7월까지는 2,648만 건으로 약 11% 줄었다는 것이다.
경찰청은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는 범죄예방 특성상 기동순찰대만의 객관적 성과 측정에 한계가 있고, 여러 관점에서 비판적 의견이 제기되는 게 사실"이라며 종합적인 내실화 방안을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