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개인형이동장치 견인·사고 건수 증가··· 김혜영 서울시의원 “市, 안전대책 마련을”

    지방의회 / 이대우 기자 / 2022-12-14 15:26:29
    • 카카오톡 보내기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김혜영 서울시의회 의원(광진4)이 제315회 정례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이하 예결위) 제2차 회의에서 시민들의 안전 확보를 위해 전동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ersonal Mobility 이하 PM) 관련 문제들에 대한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김 의원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공유 PM 관련 민원 중 ‘무단방치 및 견인’이 ▲2019년 0건이었다가 ▲2020년 126건 ▲2021년에는 1675건으로 폭증했으며, PM 관련 사고도 큰 폭으로 늘어나 ▲2017년 29건이었던 사고 건수가 ▲2021년 445건, 부상자 수도 ▲2017년 30명에서 ▲2021년 489명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사망자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김 의원은 이러한 통계 수치를 보았을 때 서울시 차원의 공유 PM 관련해 각종 규제 마련에도 불구하고 사고 건수와 부상자 수 그리고 각종 민원이 줄어들지 않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날 김 의원은 도시교통실장을 대상으로 한 질의를 통해 “공유 PM 이용 시 헬멧 착용, 운전면허 소지에 대한 단속이 경찰청 소관이라 하더라도 서울시민의 안전이 관련된 만큼 서울시에서도 문제의식에 대해 철저히 인지하고 있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어 김 의원은 “2017년 29건이었던 공유 PM 사고 건수가 2021년 445건으로 폭증했는데 그중 보행자 보도 통행 중 발생한 사고가 58건으로 다른 사고 항목에 비해 매우 높은 건수로 나타났다”며, “킥보드가 보도 통행 시 기척이라든지 신호음이 없기 때문에 보도를 통행하는 시민들에게 매우 큰 위협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고 문제점을 강조했다.

    또 김 의원은 공유 PM 무단방치·견인 관련 폭증하는 민원 건수에 대해 5대 주차금지 구역(보도차도 분리된 차도 및 자전거 도로, 지하철역 출구 전면 5m, 버스정류소 전후 5m, 점자블록 및 교통섬 위, 횡단보도 전후 3m)이 설정돼 견인 조치가 시행되고 있음에도 그외 구역에 무단방치하는 경우가 많아 시민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음을 강조하고 서울시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은 “이러한 공유 PM 문제와 관련해서는 시민들의 안전과 직결돼 있는 만큼 절대 가볍게 보아서는 안될 사안”이라며, “서울시가 가장 중요하게 지켜야 할 것 중 하나가 시민들의 안전이다”고 말하며, “공유 PM 관련 각종 문제는 시민들의 안전과 직결돼있는 만큼 본 의원이 언급했던 부분들에 대해 해외 사례를 적극 참고해 대책을 신속히 마련 후 보고해 주기를 바란다”고 주문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