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억 들여 이달부터 추진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서울시는 최근 연희동, 명일동 등 서울 일대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30년 이상 하수관로에 대한 단계적 전수조사에 착수한다.
이번 조사는 30년 이상 전체 노후 하수관로(6,029km)를 관리하기 위한 장기계획의 첫 단계로, 지반침하 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우선정비구역(DㆍE등급)’내 노후 원형하수관로 1848km를 우선 조사한다.
1단계 총 사업 기간은 이달부터 오는 2027년 8월까지 24개월이며, 서울 전역을 4개 권역으로 나눠 총 137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용역을 발주한다. 시는 1단계 조사가 완료되는 대로 2단계 AㆍBㆍC등급내에 있는 30년 이상 원형 하수관로(2982km)에 대한 조사를 순차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서울의 하수관로 노후화는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수준이다. 최근 10년간 발생한 지반침하(228건)의 가장 큰 원인이 ‘하수관로 손상’(111건ㆍ48.7%)으로 선제적인 정비가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시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하수도 관리에 대한 국비 지원 제도화 필요성을 다시 한번 제기하며, 법 개정 등 제도 개선을 중앙정부에 공식 건의할 계획이다.
현재 시는 노후 하수관로(6,029km) 개보수 및 관리 예산을 시비로 부담하고 있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지난 명일동 지반침하 등 사회적 이슈 발생시 정부 추경을 통해 한시적인 국비(338억원) 지원을 받은 사례가 있으나 이는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시는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합리적인 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시는 국비 지원 기준을 단순 재정자립도를 넘어 노후관로 연장과 지반침하 이력 및 지하시설물 밀도 등 ‘실질적 위험도’가 반영될 수 있도록 건의하고자 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