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첨단 항만기술 적용... 북극항로시대 거점 구축
도는 해수부 이전과 북극항로 시대 도래 등 변화하는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부산항 신항과 진해신항을 국가 해양 경제 중심지이자 동북아 물류 허브로 육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신항만건설지원과’를 신설, 복잡한 행정 절차를 조율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력함으로써 실행력을 강화하며, 구체적인 정책과 사업 발굴 등을 총괄, 조정한다.
특히 중점과제로 ▲글로벌 항만 전진기지로 신항만 조성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할 거점항만 구축 ▲정주·첨단이 공존하는 항만배후도시 조성을 추진한다.
이는 경남의 해양물류 생태계 전반을 혁신하고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진해신항은 총 14조6000억원이 투입, 2040년까지 21선석 규모로 조성된다.
올해 착공 후 2029년 3선석 우선 개장, 2032년 9선석 확보를 거쳐, 2040년 전면 완공을 목표로 한다.
항만 전구간에 자동화ㆍ지능화ㆍ초고속 통신망(5G) 등 최첨단 스마트 항만 기술이 적용돼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항만이 될 전망이다.
진해신항의 안정적인 물류 처리를 위해 총 6조원 규모의 도로, 철도 등 교통망 인프라도 구축한다. 부산항 신항과의 연계, 내륙 연결망, 가덕도신공항 접근 교통축 형성이 주요 사업으로, 진해신항 1단계 개장 전 적기에 완비할 수 있도록 제4차 항만기본계획 반영 등 행정 절차를 추진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