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시립인천대학이 공무원 인사교류 문제를 놓고 팽팽히 대립하고 있다.
대학측은 지난 22일 인천시가 시 본청 6급이하 공무원 13명에 대해 인천대 근무발령을 냈지만, “사전에 대학과 인사협의도 없었다”며 5일째 이들에 대한 보직발령을 미루고 있다.
대신 인천대학은 현재 행정과 교육행정으로 구분돼 있는 직렬을 교육행정으로 단일화하고, 현행 2년인 시와 대학간 순환근무 기간도 6급 이하의 경우는 최소 5년 이상 연장해 줄 것을 최근 시에 요청했다.
특히 시와 대학간 공무원 인사교류시 해당 공무원의 전보, 승진, 신규임용 등 인사권한을 대학측에 위임해 줄 것도 건의했다.
대학측은 “시에서 대학으로 전입온 공무원의 경우 자주 교체돼 교육전문성에 의한 행정체계 수립이 어렵고, 업무능률이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인천참여자치연대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인천시의 시립인천대에 대한 인사발령이 관리, 감독 역할을 넘어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반면 인천시는 대학의 인사권 독립요구는 지방자치단체장의 고유권한을 침해하는 처사라며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서울시립대의 경우도 5급이하 전보권만 인정되고 있다”며 시에 비해 업무부담은 적고, 각종 수당을 많이 받는 대학 파견 공무원의 근무기간을 늘려줄 경우 특혜소지를 부를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매년 전입금 명목으로 대학측에 막대한 재원을 투입하고 있고, 시정운영에 맞는 학사운영을 위해서도 인사권 독립은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인천시공무원직장협의회 역시 이날 성명서를 내고 “대학측이 지난 22일 단행된 인천시 인사에 불만을 갖고, 시 출신 공무원들의 보직배치를 거부하는 것은 요구관철을 위한 보복에 불과하다”며 이 대학 총장의 인사전횡 중단을 촉구했다.
/인천=문찬식 기자mcs0234@siminnews.net
대학측은 지난 22일 인천시가 시 본청 6급이하 공무원 13명에 대해 인천대 근무발령을 냈지만, “사전에 대학과 인사협의도 없었다”며 5일째 이들에 대한 보직발령을 미루고 있다.
대신 인천대학은 현재 행정과 교육행정으로 구분돼 있는 직렬을 교육행정으로 단일화하고, 현행 2년인 시와 대학간 순환근무 기간도 6급 이하의 경우는 최소 5년 이상 연장해 줄 것을 최근 시에 요청했다.
특히 시와 대학간 공무원 인사교류시 해당 공무원의 전보, 승진, 신규임용 등 인사권한을 대학측에 위임해 줄 것도 건의했다.
대학측은 “시에서 대학으로 전입온 공무원의 경우 자주 교체돼 교육전문성에 의한 행정체계 수립이 어렵고, 업무능률이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인천참여자치연대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인천시의 시립인천대에 대한 인사발령이 관리, 감독 역할을 넘어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반면 인천시는 대학의 인사권 독립요구는 지방자치단체장의 고유권한을 침해하는 처사라며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서울시립대의 경우도 5급이하 전보권만 인정되고 있다”며 시에 비해 업무부담은 적고, 각종 수당을 많이 받는 대학 파견 공무원의 근무기간을 늘려줄 경우 특혜소지를 부를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매년 전입금 명목으로 대학측에 막대한 재원을 투입하고 있고, 시정운영에 맞는 학사운영을 위해서도 인사권 독립은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인천시공무원직장협의회 역시 이날 성명서를 내고 “대학측이 지난 22일 단행된 인천시 인사에 불만을 갖고, 시 출신 공무원들의 보직배치를 거부하는 것은 요구관철을 위한 보복에 불과하다”며 이 대학 총장의 인사전횡 중단을 촉구했다.
/인천=문찬식 기자mcs0234@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