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출범후 새로 1급으로 승진·채용된 인사들의 평균나이가 50세 10개월로 국민의 정부말보다 1살 이상 적어졌다.
행정고시 기수도 14∼17회 위주에서 17∼21회 위주로 3∼4기수가 낮아졌다.
이런 결과는 중앙인사위원회가 참여정부 출범후 지금까지 각 정부부처 1급인사의 약 76%가 완료된 가운데 중앙인사위원회 심의대상인 1급승진·채용자 49명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30일 밝혀졌다.
1급 신규임용자 49명의 평균나이는 50세 10월로 지난해 12월 말 현재 1급으로 재직중이던 88명의 평균연령이 52세 3월이었던데 비해 1살 이상 적어졌다.
또 신규임용자 49명중 행시출신 25명의 고시기수를 분석한 결과, 17회와 21회가 각각 5명씩으로 이들 두 기수가 40% 를 차지한 가운데 18회·19회·20회 각 2명씩을 포함하면 17∼21회가 16명으로 64%에 달했다.
이에 비해 2002년 한해동안 신규임용된 1급 59명 중에서는 14∼17회가 36명으로 전체의 60.9%를 차지했다.
아울러 국민의 정부에서는 12회 이전이 3명, 22회 5명, 24회 1명 등으로 1급들 중에서도 고시기수의 폭이 컸으나 참여정부에서는 13회가 최고기수이고 최하위기수가 22회(1명) 등으로 비교적 고시기수 폭이 좁아졌다.
중앙인사위는 1급인사를 마친 전 부처가 다면평가를 활용했으며 △다면평가점수가 높았던 국외훈련자를 조기복귀시켜 1급으로 기용하고(환경부) △기습 다면평가를 실시하거나(국세청) △차관이 내부인트라넷으로 직접 다면평가결과를 분석(건교부)하는 등 다양한 사례가 있었다고 밝혔다.
또 해양수산부가 수산직인 수산정책국장을 차관보로 승진시키고, 국방부가 예비역장성이 맡던 기획관리실장을 일반직 공무원중에서 선발했고, 통일부가 남북대화 사무국 상근회담대표에 처음으로 고시출신 공무원을 발탁하는 등 기술직·전문직 인사 발탁도 많았다고 소개했다.
박영민 기자 ymp@siminnews.net
행정고시 기수도 14∼17회 위주에서 17∼21회 위주로 3∼4기수가 낮아졌다.
이런 결과는 중앙인사위원회가 참여정부 출범후 지금까지 각 정부부처 1급인사의 약 76%가 완료된 가운데 중앙인사위원회 심의대상인 1급승진·채용자 49명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30일 밝혀졌다.
1급 신규임용자 49명의 평균나이는 50세 10월로 지난해 12월 말 현재 1급으로 재직중이던 88명의 평균연령이 52세 3월이었던데 비해 1살 이상 적어졌다.
또 신규임용자 49명중 행시출신 25명의 고시기수를 분석한 결과, 17회와 21회가 각각 5명씩으로 이들 두 기수가 40% 를 차지한 가운데 18회·19회·20회 각 2명씩을 포함하면 17∼21회가 16명으로 64%에 달했다.
이에 비해 2002년 한해동안 신규임용된 1급 59명 중에서는 14∼17회가 36명으로 전체의 60.9%를 차지했다.
아울러 국민의 정부에서는 12회 이전이 3명, 22회 5명, 24회 1명 등으로 1급들 중에서도 고시기수의 폭이 컸으나 참여정부에서는 13회가 최고기수이고 최하위기수가 22회(1명) 등으로 비교적 고시기수 폭이 좁아졌다.
중앙인사위는 1급인사를 마친 전 부처가 다면평가를 활용했으며 △다면평가점수가 높았던 국외훈련자를 조기복귀시켜 1급으로 기용하고(환경부) △기습 다면평가를 실시하거나(국세청) △차관이 내부인트라넷으로 직접 다면평가결과를 분석(건교부)하는 등 다양한 사례가 있었다고 밝혔다.
또 해양수산부가 수산직인 수산정책국장을 차관보로 승진시키고, 국방부가 예비역장성이 맡던 기획관리실장을 일반직 공무원중에서 선발했고, 통일부가 남북대화 사무국 상근회담대표에 처음으로 고시출신 공무원을 발탁하는 등 기술직·전문직 인사 발탁도 많았다고 소개했다.
박영민 기자 ymp@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