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7대도시 501명 전화설문
교사, 학생, 학부모의 3/2가 전교조 교사에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학부모의 3/2가 전교조의 반전 평화 공동수업이 편향된 가치관을 주입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교사, 학생, 학부모의 3/2가 전교조의 정치참여를 부정적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EBS TV 토론프로그램 ‘사제부일체'가 MRI미디어리서치(대표 김정훈)에 의뢰, 전국 7대 도시의 중고생 301명과 교사ㆍ학부모 각각 100명 등 501명을 대상으로 지난 6∼7일 전화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이 여론조사결과 전교조 교사에 대해 긍정적 이미지(매우 긍정 6.6%과 약간 긍정 59.1%의 합)라는 대답은 전체의 65.7%를 차지했다.
반대로 `약간 부정적'은 27.9%, `매우 부정적'은 4.2%로 긍정적 응답보다 훨씬 적었다. 각 주체별로 비교한 결과, 교사(59.0%), 학부모(53.0%)에 비해 학생(72.1%)에게서 `긍정적'이라는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전교조 교사에 대한 호감도를 묻는 질문에서도 ‘호감이 가는 편이다'(58.5%), `매우 호감이 간다’(4.8%) 등 `호감이 간다'는 응답이 63.3%로 높았다. 이 질문 역시 교사(63.0%), 학부모(48.0%)보다 학생(68.4%)에게서 `긍정' 비율이 높았다.
전교조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조사 결과, `교단의 민주화' 응답 비율이 28.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업의 질 향상'(22.6%), `학교 비리 척결’(19.6%), `학생인권 신장'(18.4%)등의 순이었다.
대상별로는 교사의 경우 `교단의 민주화' 응답 비율이 59.0%로 가장 높았고 학생은 `수업의 질 향상'(26.2%)이, 학부모는 `학교 비리 척결’(29.0%)이 가장 높아 주체별로 관점의 차이가 드러났다.
전교조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독선적이다’(25.3%), `권위를 무시한다'(24.2%), `권력화 되었다’(22.8%)의 응답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대상별로는 교사는 ‘권력화 되었다’(30.0%)가 가장 높았고 학생(28.6%)과 학부모(28.0%)는 `권위를 무시한다'에 가장 많이 응답했다. `이념 편향적'이라는 항목에는 학부모가 23.0%로 학생(13.0%), 교사(21.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대답했다. 이 조사는 학생과 학부모의 경우 거주지의 인구수에 따라, 교사는 거주지역 중·고교의 수에 따라 비례할당 추출법을 사용했고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는 ±4.4%다.
이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한 토크 한마당 ‘사제부 일체'는 19일 오후 7시 25분에 방송된다.
서정익 기자ik11@siminnews.net
교사, 학생, 학부모의 3/2가 전교조 교사에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학부모의 3/2가 전교조의 반전 평화 공동수업이 편향된 가치관을 주입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교사, 학생, 학부모의 3/2가 전교조의 정치참여를 부정적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EBS TV 토론프로그램 ‘사제부일체'가 MRI미디어리서치(대표 김정훈)에 의뢰, 전국 7대 도시의 중고생 301명과 교사ㆍ학부모 각각 100명 등 501명을 대상으로 지난 6∼7일 전화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이 여론조사결과 전교조 교사에 대해 긍정적 이미지(매우 긍정 6.6%과 약간 긍정 59.1%의 합)라는 대답은 전체의 65.7%를 차지했다.
반대로 `약간 부정적'은 27.9%, `매우 부정적'은 4.2%로 긍정적 응답보다 훨씬 적었다. 각 주체별로 비교한 결과, 교사(59.0%), 학부모(53.0%)에 비해 학생(72.1%)에게서 `긍정적'이라는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전교조 교사에 대한 호감도를 묻는 질문에서도 ‘호감이 가는 편이다'(58.5%), `매우 호감이 간다’(4.8%) 등 `호감이 간다'는 응답이 63.3%로 높았다. 이 질문 역시 교사(63.0%), 학부모(48.0%)보다 학생(68.4%)에게서 `긍정' 비율이 높았다.
전교조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조사 결과, `교단의 민주화' 응답 비율이 28.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업의 질 향상'(22.6%), `학교 비리 척결’(19.6%), `학생인권 신장'(18.4%)등의 순이었다.
대상별로는 교사의 경우 `교단의 민주화' 응답 비율이 59.0%로 가장 높았고 학생은 `수업의 질 향상'(26.2%)이, 학부모는 `학교 비리 척결’(29.0%)이 가장 높아 주체별로 관점의 차이가 드러났다.
전교조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독선적이다’(25.3%), `권위를 무시한다'(24.2%), `권력화 되었다’(22.8%)의 응답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대상별로는 교사는 ‘권력화 되었다’(30.0%)가 가장 높았고 학생(28.6%)과 학부모(28.0%)는 `권위를 무시한다'에 가장 많이 응답했다. `이념 편향적'이라는 항목에는 학부모가 23.0%로 학생(13.0%), 교사(21.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대답했다. 이 조사는 학생과 학부모의 경우 거주지의 인구수에 따라, 교사는 거주지역 중·고교의 수에 따라 비례할당 추출법을 사용했고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는 ±4.4%다.
이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한 토크 한마당 ‘사제부 일체'는 19일 오후 7시 25분에 방송된다.
서정익 기자ik11@siminnews.net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