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인사기록카드 없앤다

    지방의회 / 시민일보 / 2007-01-18 17:17:12
    • 카카오톡 보내기
    인사위, 내달 전자관리시스템 가동… 행정력 낭비 해소
    공무원 인사관리의 상징처럼 여겨지던 종이 인사기록카드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중앙인사위원회(위원장 권오룡)는 각급 행정기관에서 수기(手記)로 작성·관리하고 있는 공무원 인사기록카드를 없애고 앞으로는 공무원 개개인의 인사기록을 전자인사관리시스템(‘e-사람’)으로 일원화해 관리하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중앙인사위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공무원인사기록 및 인사사무처리규정’ 개정안을 마련,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이르면 2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1963년부터 모든 행정기관에서 통일된 양식으로 사용해온 종이서류 형태의 현행 ‘공무원인사기록 및 성과관리카드’가 폐지된다.

    대신 공무원들의 인사기록은 지난 2001년부터 중앙인사위가 인사관리의 과학화를 위해 보급해온 ‘e-사람’을 통해 전자적으로 입력·관리해야 한다.

    중앙인사위는 각급 행정기관들이 자체 공무원 인사 및 성과기록 관리를 ‘e-사람’으로 일원화하면 각종 인사 및 통계자료의 실시간 산출, 신속하고도 정확한 인사처리 등이 가능해짐에 따라 범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인사운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e-사람’ 보급(지난 해 말 현재 활용률 94.7%) 이후 공무원인사 및 성과기록을 종이서류와 함께 ‘e-사람’으로도 이중관리를 해온 일선 행정기관들은 중복업무의 해소로 행정력 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앙인사위는 다만 급격한 제도변경에 따른 일선 기관들의 혼선을 막기 위해 올해 말까지는 종전의 종이 인사카드도 계속 병행 사용할 수 있도록 경과조치를 둘 예정이다.

    중앙인사위는 또 이번 개정안을 통해 각 부처들이 공무원 특별채용 시험 때 응시자에게 요구하는 구비서류를 간소화하도록 했다. 현행 제도상 특별채용시험에 응시하기 위해 응시자가 구비해야 하는 서류는 이력서와 최종학력증명서, 경력증명서 등 7종이지만 이 가운데 ‘신원조회확인회보서’와 ‘채용신체검사서’ 등 2가지를 생략함으로써 서류제출 부담을 완화, 응시자의 편의를 돕기로 했다.

    이와 함께 공무원이 다른 직종의 공무원으로 재임용될 경우에도 ‘인사 및 성과기록’을 제외한 6종의 구비서류는 생략토록 했다.

    생략되는 구비서류는 ▲신원조회확인회보서 ▲최종학력증명서 ▲경력증명서 ▲채용신체검사서 ▲신원조사회보서 ▲신원진술서 등 모두 6종이다.

    현재는 일반직 국가공무원이 일반직 지방공무원으로 신분이 바뀌었다가 다시 일반직 국가공무원으로 임용되는 경우에 한해 이 같은 혜택을 주고 있으나, 앞으로는 일반직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지방공무원(별정직, 정무직)이 국가직으로 임용되거나, 국가공무원 중 특정직이나 특수경력직에서 일반직으로 임용될 때에도 채용 구비서류 중 ‘인사 및 성과기록’을 제외한 여타 서류는 생략토록 했다.

    /이병만 기자 leebm@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시민일보 시민일보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