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장선, “노사 양측은 서로 양보하고, 정부는 적극 중재에 나서야”
원유철, “경찰의 선제적 결단 필요”
쌍용자동차의 자동차 생산이 전면 중단되고, 생산중단으로 인한 손실이 누적돼 지금 시점에서 경영평가가 이뤄진다면 기업 활동의 계속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높게 나올 수 있을지도 의문인 상황에 이른 가운데 노사 갈등과 대립마저 장기화 되고 있어 신속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민주당 정장선 의원은 1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평택시민의 절대적인 요구는 어떠한 경우든 쌍용자동차의 회생”이라며 “노사 양측이 서로 양보해 부분 생산을 재개하고 협상을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자동차 생산 중단이 협력업체에 피해를 주고, 또 쌍용자동차의 판매망도 급격히 무너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 “사실상 사측이나 정부가 수용하기 어려운 요구를 내건 노동조합의 파업과 점거, 실제 채권단이 요구하는 사항을 집행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는 회사측의 무기력함”을 지적하며, “노사간 대립과 노노간 충돌을 지켜보기만 할 뿐 중재에 나설 의지도 없는 정부를 지켜보는 평택시민의 가슴은 무너져가고 있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노·정 교섭을 통한 공적자금 투입을 요구하고 있는 노조에 대해 “공적자금 투입 요구를 철회하고, 실현 가능한 타협안을 제시해야 한다”며 쌍용자동차의 부분적 생산의 재개를 요청했다.
이어 그는 사측에 “생산재개를 위한 대폭 양보안을 제시할 것”을 촉구했다.
정 의원은 “쌍용자동차 사측도 노조가 수용할 수 없는 구조조정안을 고수할 것이 아니라 더 진전된 양보안을 마련하여야 한다”며 “노동조합의 일자리 요구가 기업회생을 도외시 한 것이 아니라 고통분담의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라”고 주장했다.
또한 정 의원은 정부에게도 파산을 방조하지 말고 적극 중재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그는 “정부는 지금 쌍용자동차 사태를 방관하고 있다. 노사양측의 대타협을 중재하고 자동차 생산을 재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단, 한명의 노동자가 일하더라도 쌍용자동차가 평택에서 생산 활동을 지속하는 것이 지역경제에 보탬이 된다”면서 “솔로몬의 지혜처럼 쌍용자동차를 더 사랑하는 사람들이 먼저 양보하자”며 노사 양측이 이기적 자세를 버리고 타협을 이끌어 내기를 거듭 촉구했다.
한편 한나라당 원유철 의원은 이날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쌍용자동차 사태에 대해 “노사가 서로 한 발짝씩 물러서서 빨리 생산을 재개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다”면서도 “경찰의 선제적인 결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원 의원은 과거 평택미군기지 이전 당시 대추리 사태처럼 진보진영이 쌍용차 사태를 이용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앞서 검찰에서는 이미 정리해고 철회를 요구조건으로 하는 파업은 명백하게 불법파업으로 보고, 근로의사를 가진 다른 근로자들의 출입이나 업무를 방해할 경우 업무 방해죄가 구성된다고 밝힌 바가 있다.
특히 원 의원은 노동계의 쌍용자동차 파업 지원 우려에 대해 “문제 해결을 위한 지원이면 괜찮다. 세계 금융위기 속에서 GM도 파산했다. 쌍용자동차가 노사가 회생을 위한 대화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줘야 한다”면서도 “외부세력의 개입으로 더욱 강경해질까봐 걱정이 된다”고 밝혔다.
그는 “청산만은 절대 안 된다. 청산가치보다 회생가치가 무려 3천억원 이상 있다고 결론난 기업이다”며 “회사 구성원인 자구노력과 쌍용차가 건강하게 회생될 수 있는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수호 기자 msh@siminilbo.co.kr
원유철, “경찰의 선제적 결단 필요”
쌍용자동차의 자동차 생산이 전면 중단되고, 생산중단으로 인한 손실이 누적돼 지금 시점에서 경영평가가 이뤄진다면 기업 활동의 계속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높게 나올 수 있을지도 의문인 상황에 이른 가운데 노사 갈등과 대립마저 장기화 되고 있어 신속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민주당 정장선 의원은 1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평택시민의 절대적인 요구는 어떠한 경우든 쌍용자동차의 회생”이라며 “노사 양측이 서로 양보해 부분 생산을 재개하고 협상을 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자동차 생산 중단이 협력업체에 피해를 주고, 또 쌍용자동차의 판매망도 급격히 무너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 “사실상 사측이나 정부가 수용하기 어려운 요구를 내건 노동조합의 파업과 점거, 실제 채권단이 요구하는 사항을 집행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는 회사측의 무기력함”을 지적하며, “노사간 대립과 노노간 충돌을 지켜보기만 할 뿐 중재에 나설 의지도 없는 정부를 지켜보는 평택시민의 가슴은 무너져가고 있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노·정 교섭을 통한 공적자금 투입을 요구하고 있는 노조에 대해 “공적자금 투입 요구를 철회하고, 실현 가능한 타협안을 제시해야 한다”며 쌍용자동차의 부분적 생산의 재개를 요청했다.
이어 그는 사측에 “생산재개를 위한 대폭 양보안을 제시할 것”을 촉구했다.
정 의원은 “쌍용자동차 사측도 노조가 수용할 수 없는 구조조정안을 고수할 것이 아니라 더 진전된 양보안을 마련하여야 한다”며 “노동조합의 일자리 요구가 기업회생을 도외시 한 것이 아니라 고통분담의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라”고 주장했다.
또한 정 의원은 정부에게도 파산을 방조하지 말고 적극 중재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그는 “정부는 지금 쌍용자동차 사태를 방관하고 있다. 노사양측의 대타협을 중재하고 자동차 생산을 재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단, 한명의 노동자가 일하더라도 쌍용자동차가 평택에서 생산 활동을 지속하는 것이 지역경제에 보탬이 된다”면서 “솔로몬의 지혜처럼 쌍용자동차를 더 사랑하는 사람들이 먼저 양보하자”며 노사 양측이 이기적 자세를 버리고 타협을 이끌어 내기를 거듭 촉구했다.
한편 한나라당 원유철 의원은 이날 PBC라디오 ‘열린세상 오늘’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쌍용자동차 사태에 대해 “노사가 서로 한 발짝씩 물러서서 빨리 생산을 재개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다”면서도 “경찰의 선제적인 결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원 의원은 과거 평택미군기지 이전 당시 대추리 사태처럼 진보진영이 쌍용차 사태를 이용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앞서 검찰에서는 이미 정리해고 철회를 요구조건으로 하는 파업은 명백하게 불법파업으로 보고, 근로의사를 가진 다른 근로자들의 출입이나 업무를 방해할 경우 업무 방해죄가 구성된다고 밝힌 바가 있다.
특히 원 의원은 노동계의 쌍용자동차 파업 지원 우려에 대해 “문제 해결을 위한 지원이면 괜찮다. 세계 금융위기 속에서 GM도 파산했다. 쌍용자동차가 노사가 회생을 위한 대화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줘야 한다”면서도 “외부세력의 개입으로 더욱 강경해질까봐 걱정이 된다”고 밝혔다.
그는 “청산만은 절대 안 된다. 청산가치보다 회생가치가 무려 3천억원 이상 있다고 결론난 기업이다”며 “회사 구성원인 자구노력과 쌍용차가 건강하게 회생될 수 있는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수호 기자 ms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